[환율 전망] 미국 경제에 생기는 의문, 다시 힘 빠지는 달러

2025.4.29 달러/원 환율 1,432~1,442원 전망
최신글
2025.04.29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하락 출발 이후 위안화 리스크 및 수급 부담에 낙폭 축소
    • 글로벌 동향, 미국 주요 지표 앞두고 불거진 경기침체 전망에 달러 약세
    • 마켓 이슈, 한미 협상 의제로 떠오른 환율, 원화 절상 압박해도 영향은 미미

달러/원 환율, 하락 출발 이후 위안화 리스크 및 수급 부담에 낙폭 축소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중 무역갈등 완화에 따른 달러 강세에 상승 출발. 장 초반 소폭 하락하기도 했으나 중국 위안화 약세에 동조한 원화,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도, 외인 배당에 따른 역송금 잔여 추정 물량 등에 상승세가 지속되며 전일 종가 대비 6.1원 상승한 1,442.6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 장에서는 미국 경기침체 전망에 따른 달러 약세에 하락하며 1,436.8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전일 종가 대비 5.55원 하락한 1,434.4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약세 및 역외 거래를 감안해 전날 종가보다 약 5원 정도 하락 개장 예상. 금주 미국 주요 지표 발표를 앞두고 경기침체 내러티브가 달러 약세, 즉 환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

다만 미중 협상 교착에 따른 위안화 약세 리스크, 외인 배당 역송금 잔여 물량과 외인 주식 순매도 등 수급 부담이 환율 상방 요인. 금일 환율은 하락 출발 이후 위안화 약세 및 달러 환전 수요 등에 낙폭 축소 예상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미국 주요 지표 앞두고 불거진 경기침체 전망에 달러 약세

전일 미 달러화는 미국 제조업 지수 부진에 다른 경기침체 우려를 반영하며 약세 전환.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65% 하락한 98.93pt 기록. 금주 발표될 굵직한 지표들을 앞두고 나온 제조업 선행지표가 상당히 부진. 댈러스 연은의 4월 텍사스 제조업 지수는 -35.8pt로 2020년 5월 이후 5년 만에 최저치 기록

금주는 (화) 4월 소비자심리지수 및 3월 JOLTS 구인건수, (수) 미국 1분기 GDP 및 3월 PCE 물가, (목) 4월 ISM 제조업 지수, (금) 4월 비농업 고용 및 실업률 등 미국 핵심 지표가 줄줄이 발표

미국 경기침체 기대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에 일본 엔화가 강세, 달러당 엔 환율은 1.16% 급락한 142.01엔 기록. 한편 미 장단기 국채금리 하락도 달러 약세에 기여. 미국 재무부 차입 계획 (QRA)에 따르면, 4~6월 차입 수정치는 현금잔고 조정 시 당초보다 530억 달러 적은 수준. 즉 국채 발행 부담이 완화되며 국채금리가 하락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한미 협상 의제로 떠오른 환율, 원화 절상 압박해도 영향은 미미

24일 위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환율 정책이 차기 협상 의제로 포함. 일각에서는 미국 재무부의 환율 보고서에서 한국이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 제기. 그러나 한국은 미국 재무부의 환율 조작국 지정 요건 (① 대미 무역흑자, ② 경상흑자, ③ 외환시장 개입) 중 '외환시장 개입' 요건을 미충족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외환당국은 2024년 한 해 동안 약 111억 달러를 순매도하며, 시장 개입이 사실상 원화 절상 (환율 하락)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시행. 만약 미국이 한국에 원화 절상을 요구한다면, 환율 조작국 지정 같은 소위 '채찍'보다는 자동차 25% 관세 인하 등 '당근'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아 보임

다만, 실제 원화 절상 압박이 가해진다 해도 인위적 시장 개입을 통한 환율 조정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 현재 환율에는 정책 요인보다는 미중 갈등과 거주자 해외투자 증가 등 다른 요인의 영향이 더 크기 때문

외환당국, 2024년 100억 달러 이상 순매도 개입

2022년 부터 2024년 까지 분기별 '외환당국' '달러 순매입액', 달러/원 환율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한국은행,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