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경제 기사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기업과 관련된 뉴스라는 점입니다. 기업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기업 활동에 따라 고용, 소득, 소비, 세금 등 우리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시장경제의 심장, 기업 활동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볼게요.
읽는시간 4분
삼성전자 실적 발표!, 현대차 역대급 해외 판매!,
청년 고용률 하락, 법인세 세수 감소
이런 경제 기사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기업과 관련된 뉴스라는 점입니다. 기업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닙니다. 기업 활동에 따라 고용, 소득, 소비, 세금 등 우리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시장경제의 심장, 기업 활동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볼게요.
기업 뜻
기업은 경제의 핵심 주체
기업이란 이윤, 즉 이익을 얻기 위해 물건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파는 조직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에요. 기업은 단순히 돈을 버는 주체가 아니라 우리 생활 곳곳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제 주체입니다. 기업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를 만듭니다. 기업이 존재해야 물건을 생산하고, 이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도 활발하게 운영됩니다. 시장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국가 경제도 성장하게 되죠. 기업은 경제를 움직이는 핵심적인 주체로, 우리가 시장경제 속에서 편리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계 | 기업과 정부에 생산 요소를 제공하고 그 대가인 소득을 통해 소비하는 경제 주체 |
기업 | 가계로부터 제공받은 생산 요소를 이용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경제 주체 |
정부 | 재정 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 후생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제 주체 |
기업의 역할
왜 기업이 경제의 심장일까?
시장경제란 기업과 개인이 자유롭게 생산하고 소비하는 경제 체제를 말해요. 정부가 모든 것을 계획하고 지시하는 계획경제의 반대 개념이죠. 시장경제에서 정부는 규칙을 만들어 시장이 잘 돌아가게 합니다. 실제 경제를 돌리는 건 바로 기업과 소비자예요.
이 중에서 기업은 생산의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어요. 기업은 제품을 만들고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그 과정에 필요한 사람을 고용하고 경제를 움직이게 합니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이 새로운 전기차를 개발하면 부품 회사, 충전소 사업자, 정비소, 판매 대리점, 심지어 자동차 관련 유튜브 채널까지 여러 산업이 함께 활성화됩니다.
기업 활동은 단순한 ‘생산’을 넘어서 수많은 경제 주체를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어요. 마치 심장이 혈액을 온몸에 보내듯, 기업의 활동이 시장경제를 원활하게 움직이게 합니다. 그래서 기업을 '시장경제의 심장'이라고 합니다. 심장이 멈추면 온몸이 멈추듯, 기업 활동이 멈추면 경제도 멈추게 되는 거예요.
경제성장의 중심, 기업
GDP를 움직이는 주인공은?
경제 기사에 나오는 경제성장은 어떤 뜻일까요? 여기서 말하는 성장은 단순히 돈이 많아진다는 뜻이 아닙니다.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새롭게 만들어낸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 즉 GDP(Gross Domestic Product)가 증가하는 걸 의미해요. 그렇다면 GDP 구성 요소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성장할 수 있는지 공식으로 살펴보겠습니다.
C(Consumption): 소비
가계가 일상생활을 위해 지출한 비용을 뜻합니다. 음식, 옷, 교통비, 휴대폰 요금, 전기세 같은 것들이 이 항목에 해당합니다.
I(Investment): 투자
기업이 공장을 짓거나 기계를 도입하고, 재고를 쌓는 등 경제활동을 할 때 들어간 비용입니다. 이는 미래 생산을 위한 지출이기 때문에 경제 성장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G(Government Spending): 정부 지출
국가가 도로, 철도 등 사회기반시설을 만들거나, 교육, 복지, 국방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에 사용하는 비용이 포함됩니다.
X(Exports)-M(Imports): 순수출
X는 수출을 뜻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제품이나 서비스가 외국에 팔렸을 때 벌어들이는 돈이죠. M은 수입을 뜻합니다. 결국 순수출은 한 나라가 수출한 금액에서 수입한 금액을 뺀 값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GDP는 소비, 투자, 정부 지출, 순수출 이 네 가지 요소로 결정됩니다. 그런데 이 GDP 계산에서 가장 핵심은 바로 기업입니다. 기업이 활발하게 활동하면 생산이 증가하고, 일자리가 늘어나며, 그로 인해 가계의 소득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이에요. 소득이 늘면 사람들은 더 많이 소비하고, 소비가 다시 기업의 매출을 높이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는 거죠.
반대로 기업이 어려워지면 고용이 줄고, 실업이 늘어나며, 소비가 위축되고, 경제 전반이 침체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많은 기업들이 영업을 중단하면서 실업률이 급격히 높아지고 GDP가 급감했던 사례를 떠올려보세요. 결국 경제 성장의 핵심은 기업 활동의 활발함에 달려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우리 주변 속
기업 활동 예시
배달 앱은 음식점과 소비자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수많은 음식점 사장님, 라이더, 광고 디자이너, 앱 개발자들이 연결된 하나의 산업 생태계를 만들었어요. 배달 앱이 없던 시절보다 훨씬 많은 일자리가 생겼고 소비자들도 편리해졌죠.
인터넷 플랫폼 기업은 채팅, 검색, 쇼핑, 뉴스, 웹툰, 결제까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말해요. 이런 기업들을 데이터 분석과 기술 개발로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고, 수많은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어요.
은행은 돈이 잘 돌게 해주는 허브 같은 역할을 해요. 여러분이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은행은 그 돈이 필요한 사람이나 기업에게 돈을 빌려줘요. 기업은 빌린 돈으로 건물을 짓고, 직원을 뽑고, 물건을 만들어요. 이렇게 은행은 돈이 필요한 기업에 자금을 공급해 경제가 멈추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해요.
이제 기업이 어떤 제품을 생산하고 어떤 기술에 주목하고 있는지 살펴보세요. 기업을 이해하는 눈이 생기면 여러분은 더 똑똑한 소비자가 될 거예요. 나아가 기업 성장의 기회를 파악하는 투자자 또는 창업자가 될 수 있어요. 경제를 이해한다는 건 결국 세상을 이해하는 거니까요.
객관식 퀴즈
<기업을 알면 경제가 보인다! 기업이 시장경제의 주인공인 이유> 콘텐츠에 정답이 있어요.
이 콘텐츠는 2025년 5월 8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KDI 경제정보센터, EBS 수능완성 사회탐구영역 자료를 활용해 제작되었으며, 발행일 이후 변경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오직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개인적인 자문 또는 홍보 목적의 콘텐츠가 아닙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이 입은 손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