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카마켓 사기 당했다면? 포카 사기 신고, 포토카드 거래 사기 대처법

틴즈 머니 마스터 10화: 포토카드 사기당했을 때 대처법
시리즈 총 10화
2025.02.05

읽는시간 4

0

10대의 현명한 금융 생활, 틴즈 머니 마스터 배너입니다.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도록! 돈을 잘 벌고, 잘 불리고, 잘 쓰는 '틴즈 머니 마스터'에 함께 도전해 봐요. 오른쪽에는 책가방을 메고 공책을 들고 있는 한 학생이 있습니다. 배경에는 동전이 쌓여 있는 유리병과 책 세 권이 놓여 있습니다.

K팝, 아이돌 팬이라면 누구나 하나쯤 모으는 게 하나 있어요. 바로 포토카드(포카)예요. 포카란 K팝 스타나 아이돌의 사진을 명함 크기로 인쇄한 카드 형태의 굿즈예요. 잘파세대 사이에서는 응원봉, 최애 인형과 함께 3대 굿즈로 꼽히는데요. 중고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다 보니, 포카 사기 피해도 많아요. 포카 사기의 유형과 예방법, 사기당했을 때 대처법을 알아볼게요.

콘텐츠의 제목 "포카마켓 사기 당했다면? 포카 사기 신고, 포토카드 거래 사기 대처법. 틴즈 머니 마스터 10화"가 적혀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세 장의 포토카드가 낚싯바늘에 걸려 있습니다. 포카 사기를 상징합니다. 아래에는 포카 사기꾼으로 보이는 사람이 얼굴 없이 후드를 뒤집어쓴 채 노트북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노트북 왼쪽에는 한 여성이 아이돌 응원봉을 들고 응원하고 있습니다.

포토카드 거래, 포카마켓

포카 사기란?

포카 사기란 가짜 포토카드를 팔거나 돈만 받고 물건을 보내지 않는 행위를 말해요. 포카 거래는 X(옛 트위터)와 같은 SNS나 포카마켓, 당근 등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이뤄지는데요. 미공개 포카는 수십만원에 판매되다 보니, 피해 금액도 큰 편이에요.

포카 사기 피해자, 이렇게나 많아요

실제로 다음과 같은 포카 사기 피해가 있었어요.
 

  • 뉴진스 포카 사기: 22명에게 뉴진스 포카를 판다고 속여 약 280만을 가로챈 20대가 징역형을 선고받았어요(2024년 1월).
  • NCT 포카 사기: 약 200명에게 NCT 포카를 판다고 속여 약 1,390만원을 가로챈 20대 여성이 징역형 집행유예를 받았어요(2023년 8월).
  • 미공개 포카 사기: 외국인과 미성년자 등 49명에게 미공개 포카를 판다며 약 3억원을 가로챈 20대 남성이 구속돼 검찰에 넘겨졌어요(2023년 1월).

 

소액 거래 특성상 실제 피해는 이보다 더 클 수 있어요. 특히 아이돌 팬 중에는 청소년도 많다 보니,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포카 사기를 당했다는 청소년들의 글이 꾸준히 올라와요.

네이버 지식iN에 포카 사기에 대해 문의한 글들이 4건 있습니다. 각각의 제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포카마켓 사기 제발 도와주세요ㅠ", "포카마켓 사기", "포카마켓 (중고 거래) 사기 당했슴다. 자문부탁드려요", "포카마켓 사기 돈 돌려받을수 있나요?"

네이버 지식iN에 올라온 포카 사기 문의 글(2025.01.24. 기준)

포카 사기 유형, 이런 사람 조심하세요!

포카 사기꾼들은 이런 유형으로 나뉘어요.
 

  • 입금받고 물건 안 보내는 사람: 핑계를 대며 발송을 미루다가 계정을 탈퇴하고 잠적하는 유형
  • 문자, 카카오톡으로 연락하자는 사람: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사기가 의심되는 대화가 있으면 주의 문구가 뜨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문자, 카카오톡으로 얘기하자는 유형
  • 안전거래 피하는 사람: 안전거래*가 번거롭다며 먼저 계좌에 돈을 보내라고 요구하는 유형
  • 안전거래 하자며 링크 보내는 사람: 사기를 예방한다며 먼저 안전거래를 제안하지만, 가짜 안전 거래 링크를 보내는 유형

*안전거래: 안전거래 업체에 약 1~2%의 수수료를 내는 대신, 구매자가 물건을 받을 때까지 거래 대금을 업체에 맡겨두는 걸 말해요.

포토카드 사기 안 당하려면?

포카 사기 예방법

포카 사기를 포함해 중고거래 사기는 한번 당하면 정신적, 시간적으로 피해가 커요. 따라서 예방이 제일 중요해요. 다음 방법으로 예방해 보세요.

✅ 전화번호, 계좌번호로 포카 사기 조회

입금 전에 사기 정보 공유 앱 ‘더치트’ 혹은 ‘경찰청 사이버캅’ 앱에 판매자 전화번호, 계좌번호를 넣어 보세요. 판매자가 사기로 신고된 적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주의 표시가 뜨면 거래하지 말아야 해요. KB국민은행으로 계좌 이체한다면 스타뱅킹 앱의 이체 페이지 하단에서 ‘사기의심계좌’를 조회할 수 있어요.

✅ 다양한 인증사진 요청

판매자에게 포토카드와 함께 거래 당시 날짜 등 특정 문구를 적어 인증 사진을 달라고 해보세요. 그림자가 없거나 합성이 의심된다면 다른 사진을 요구하는 것도 필요해요. 특히 포토카드는 카드 상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영상을 찍어달라고 하는 게 좋아요.

포카 사기 신고 방법

포토카드 사기 당했을 때 대처법

포카 사기를 당했다면 다음 순서대로 대처하세요.

1. 사기 증거 자료를 모아요

판매자와 주고받은 채팅, 판매자 연락처와 계좌 번호, 닉네임을 캡처하고 저장하세요. 판매자가 탈퇴하거나 판매 글을 삭제하면 증거를 모으기 어려울 수 있으니, 입금 전이라도 의심스러운 부분은 미리 캡처해 두는 게 좋아요. 이체확인증 등 판매자에게 돈을 보낸 증거도 필요한데, 대부분의 은행 앱에서 받을 수 있어요.

2.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에 신고해요

포카 사기와 같은 사이버 범죄 피해는 온라인으로 신고할 수 있어요.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에 증거 자료를 첨부하고 피해진술서를 작성하세요. 온라인 접수는 임시 접수라, 14일 안에 가까운 경찰서에 가서 정식 접수를 해야 해요. 바로 경찰서에 가서 신고해도 되지만, 온라인으로 미리 접수하면 조사 시간을 줄일 수 있어요.

 

※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은 만 14세 이상, 피해자 본인만 신고할 수 있어요. 가족이나 대리인이 신청하려면 경찰서에 직접 방문해야 해요.

3. 직접 경찰서 가서 신고해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사이에 가까운 경찰서에 가서 진정서를 작성하세요. 만약 일과시간 이외의 시간에 방문하려면 미리 해당 경찰서에 전화해서 일정을 조율할 수 있어요. 가까운 경찰서 전화번호는 국번 없이 182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ECRM 접수를 안 했다면 증거 자료를 프린트해 가세요.

💡 나 말고 다른 피해자가 이미 경찰서 가서 신고했다면?

포카 사기 피해자가 여러 명이고, 먼저 경찰서에 가서 진술한 사람이 있다면 나는 직접 경찰서에 안 가도 돼요. 포카 사기와 같은 사이버 사기는 보통 피해자가 여러 명이니, 먼저 온라인으로 신고하고 경찰서에 방문해야 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4. 더치트, 사이버캅에 피해 사례 등록해요

사기 정보 공유 앱 ‘더치트’ 혹은 ‘경찰청 사이버캅’ 앱에 피해 사례를 등록하세요. 피해자들이 모이면 사기꾼을 잡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추가 피해도 막을 수 있어요.

사기꾼이 청소년이라면

미성년자도 포토카드 사기 처벌받나요?

형법에 따르면 사기 행위는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아요. 미성년자는 처벌을 안 받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만 14세 이상은 성인과 동일하게 형사 재판 대상이에요. 벌금형 이상 처벌을 받으면 전과 기록도 남아 진로, 사회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미성년자도 포카 사기 피해 신고할 수 있나요?

만 14세 미만은 직접 신고가 어려워요. 부모님이나 법정대리인의 도움이 필요해요. 반면 만 14세 이상 청소년은 직접 신고할 수 있지만, 경찰서에 방문할 때 부모님이 같이 가야 할 수도 있어요. 

3줄 요약

  •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청소년들의 포토카드 사기 피해가 많아요.
  • 포카 사기를 예방하려면 전화번호, 계좌번호로 신고 내역을 확인하고 인증사진을 요청하세요.
  • 포카 사기를 당했다면 증거 자료를 모아 경찰서에 가서 신고해야 해요.

이 콘텐츠는 행정안정부 안전한TV, 경찰청 자료를 참고해 만들었습니다.

이 콘텐츠는 2025년 2월 5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오직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로 경제와 투자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 및 배포되었습니다. 수록된 내용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참고한 것이나, KB국민은행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라도 고객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를 묻는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콘텐츠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복제, 배포, 전송, 대여가 금지됩니다.

KB Think 오리지널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KB Think 오리지널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