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전기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배터리를 충전한뒤 배터리로 모터를 구동해 달리다가, 전기가 떨어지는 시점에 석유엔진을 구동하기 때문에 일반 하이브리드카(HEV)보다 연비가 높다. 50~60km까지의 짧은 구간은 내연기관 가동없이 배터리만으로 운행할 수 있어 전기차로 가는 중간 단계로 볼 수 있다.



내연 엔진의 남는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해 사용하는 일반 하이브리드카는 외부 충전이 불가능하다. PHEV의 장점은 급속 충전소가 필요 없고, 완속 충전으로도 내연기관과 함께 충분한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PHEV는 전기차 충전기가 부족하고 주행 거리가 짧았던 2020년까지만 해도 친환경차의 대세로 자리 잡았다.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엔진으로 멀리 달릴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됐다. 그러나 충전소가 확대되고 전기차 주행 거리 및 충전 속도가 개선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유럽에선 BEV 보급을 늘리기 위해 PHEV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2022년부터 최소 60㎞ 이상을 전기모터로 주행할 수 있는 PHEV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기준을 강화할 예정이다. 전기모터 주행 거리가 40㎞ 이내인 대다수 PHEV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다. PHEV는 ㎞당 이산화탄소를 50g가량 배출해 친환경차가 맞는지에 대한 논란도 벌어지고 있다.





자동차업계도 PHEV보다 BEV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마르쿠스 셰퍼 메르세데스벤츠 최고운영책임자(COO)는 2021년 9월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1’에서 “PHEV는 다임러에서 더 이상 중요하지 않은 모델”이라며 “PHEV에 신규 투자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라트는 “PHEV보다 BEV용 부품 가격이 비싸 부품업체들도 BEV 판매 호조를 선호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