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정가 대신 시가’ 다이내믹 프라이싱(Dynamic Pricing), 누구를 위한 가격전략인가?

시리즈 총 4화
2024.05.21

읽는시간 4

0

Executive Summary

□ 다이내믹 프라이싱(dynamic pricing)은 제품 및 서비스 가격을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가격 차별화 전략을 통칭하며, 일상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음

  • 정가(fixed price) 대신 시가(market price) 개념을 적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 가격을 하나로 고정하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가격 차별화 전략을 의미

  • 실시간 수요와 공급은 물론 경쟁 상황, 소비자 행동 등 다양한 가변 요인을 고려하여 가격을 탄력적으로 책정하는 동적 가격제로 국내에서는 ‘탄력가격제’, ‘가변가격제’, ‘가격변동제’등 다양한 용어로 번역되어 사용됨

□ IT 기술이 발달되고 소비자 인식이 개선되면서 다이내믹 프라이싱은 해를 거듭할수록 적용 범위를 확대

  • 과거 항공, 호텔, 전자상거래 등의 업계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IT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 인식 개선에 따라 다양한 영역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 나가고 있음

  •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전통적인 온라인 영역을 넘어 오프라인 업종에서 활발히 적용 중

□ 다이내믹 프라이싱은 도입 이후 이를 둘러싼 크고 작은 논란이 계속되었으나 다양하고 활발한 논의 과정을 거쳐 적용 방식의 수정과 보완을 거듭

  • 일상 속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최근 다이내믹 프라이싱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거짐

  • 다이내믹 프라이싱의 성공 여부는 소비자가 이를 납득하고 수용하는지에 달려 있음. 소비자 혜택에 대한 공감대 없는 기업의 일방적 도입은 가격 인상 꼼수로 인식되어 반발을 살 수 있음

  • 가격 인상폭이 비합리적으로 과도하다고 여겨질 경우 소비자가 납득하지 못할 수 있음. 이는 기업의 가격 조작에 의한 비윤리적 폭리 행위로 간주되어 결국 소비자의 외면을 받게 됨

  • 소비자는 기업의 기만행위에 민감. 가격 결정 및 운영 과정에서 투명성과 공정성이 의심되는 경우 기업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 하락으로 이어짐

□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다이내믹 프라이싱은 소비자의 혜택과 기업의 이익을 증대하는 유용한 전략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소비자와 기업 간 신뢰가 전제될 때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

  • 소비자의 인식 개선과 IT 기술의 발달 등 다이내믹 프라이싱의 보급 여건이 조성되면서 전세계 많은 국가의 다양한 업종 온·오프라인 기업에서 이를 도입할 것으로 전망

  • 다이내믹 프라이싱의 성공 여부는 결국 기업의 요구사항과 소비자의 기대 수준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 나가는 기업의 노력과 능력에 달려 있음
김남경

KB경영연구소

김남경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