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내믹 프라이싱이란

‘정가 대신 시가’ 다이내믹 프라이싱(Dynamic Pricing), 누구를 위한 가격전략인가? 1화
시리즈 총 4화
2024.05.21

읽는시간 4

0

■ 다이내믹 프라이싱(dynamic pricing)은 제품 및 서비스 가격을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가격 차별화 전략을 통칭하며, 일상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음

○ 정가(fixed price) 대신 시가(market price) 개념을 적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 가격을 하나로 고정하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가격 차별화 전략을 의미

[그림 1] 다이내믹 프라이싱의 작용 원리

'다이내믹 프라이싱'의 '작용 원리'를 정적 가격과 동적 가격을 구분지어 설명하고 있다.

자료: 패들(Paddle)

  • 실시간 수요와 공급은 물론 경쟁 상황, 소비자 행동 등 다양한 가변 요인을 고려하여 가격을 탄력적으로 책정하는 동적 가격제로 국내에서는 ‘탄력가격제, ‘가변가격제’, ‘가격변동제’ 등 다양한 용어로 번역되어 사용됨

  • 유사한 개념의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¹은 2024년 트렌드 키워드로 선정되기도 함

○ 다이내믹 프라이싱은 종종 수요가 몰릴 때 가격을 대폭 인상하는 ‘서지 프라이싱(surge pricing)’과 동의어로 인식되며 기업의 가격 조작에 의한 비윤리적 폭리 행위로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일상 속에서 다양한 형태²로 적용되고 있음
 

  • [일시적 가격 인상 정책, ‘서지 프라이싱’] 우버 등의 차량 공유업체, 도어대시(DoorDash) 등의 식품 배달업체 등에서 수요가 많은 특정 시간대 요금을 대폭 인상하는 정책

  • [수요 기반 가격 정책(demand pricing)] 테마파크에서 성수기와 비수기 요금 차등 적용과 같이 전통적 수요를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

  • [가치 기반 가격 정책(value-based pricing)] 한정판 스니커즈 등과 같이 제품 및 서비스의 가치를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

  • [시간 기반 가격 정책(time-based pricing)] 블랙 프라이데이 세일 등과 같이 특정 시기에 한정하여 가격을 차등 적용하는 방식

■ 다이내믹 프라이싱은 영화관·골프장·볼링장·스키장·야구장 입장권에서 식음료 가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으로 확산되는 한편 최근 이를 둘러싼 논란도 다시 불거짐

○ 다이내믹 프라이싱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며, 휴가철 항공권이나 호텔 객실 등과 같이 공급은 고정되어 있지만 수요가 변동하는 분야에 널리 퍼져 있음
 

  • 영화관 조조 할인이나 식당·주점의 해피아워 등 제품 및 서비스 수요가 적어 판매가 부진한 시간대 고객을 늘리고 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매출을 증대하는 전략은 이미 소비자에게도 익숙
 

○ 다양한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는 다이내믹 프라이싱 전략을 둘러싸고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다양한 논란이 불거짐
 

  • 미국 패스트푸드 체인점 웬디스는 지난 2월 손님이 몰리는 시간대에는 메뉴 가격을 높이고 한가한 시간대에는 가격을 낮추는 다이내믹 프라이싱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가 소비자의 거센 비판에 직면하고 철회

  • 유럽 최대 테마파크 운영사 멀린엔터테인먼트(Merlin Entertainments³은 지난 3월 성수기와 비수기 입장권 가격을 차등 적용하는 다이내믹 프라이싱 도입 계획을 발표. 이후 웬디스와 마찬가지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었으나 디즈니 등 경쟁사 선례에 따른 학습 효과로 관망하는 분위기가 조성됨

■ 본 고에서는 다이내믹 프라이싱의 현주소와 함께 확산 과정에서 주목을 받은 다양한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도입 확대 시 고려 사항을 짚어보고자 함

¹ 『트렌드 코리아 2024』(김난도 외, 2023)에서 하나의 물건, 하나의 가격을 뜻하는 ‘일물일가’가 사라지고 동일한 상품이라도 시간, 장소, 채널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일물N가’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고 언급

² Deborah Findling. “Is Dynamic Pricing Right for Your Restaurant?”. the bottom line by Square, Jul. 18, 2023

³ 24개국에서 레고랜드(Legoland), 씨라이프(Sea Life), 마담투소(Madame Tussauds) 등 140개 이상의 어트랙션을 운영하는 세계 2위의 엔터테인먼트 그룹으로 영국에 본사를 두고 있음. 국내에서는 춘천 레고랜드, 부산 씨라이프, 코엑스 아쿠아리움을 운영

김남경

KB경영연구소

김남경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