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업의 엑소더스…런던은 글로벌 금융허브 위상을 지켜낼 수 있을까?

시리즈 총 5화
2025.03.17

읽는시간 4

0

요약

□ 런던의 심상치 않은 변화, 런던을 떠나는 기업들

  • 런던은 세계 주요 도시의 금융 경쟁력을 측정하는 지표인 국제금융센터지수(GFCI)에서 꾸준히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1위 뉴욕과의 격차는 점차 벌어지고 홍콩과 싱가포르가 뒤를 바짝 추격해 오는 중

  • 런던증권거래소(LSE)는 2024년 88개 기업이 상장을 폐지하거나 다른 증시로 이전하는 등 최근 전례 없이 많은 기업이 이탈하고, 신규 상장 기업 수 및 자금 규모가 지속적으로 감소

□ 왜 런던의 위상이 낮아지고 있는가?

① 브렉시트(Brexit)에서 시작된 영국 경제의 변화

  • 경제 불확실성과 기업의 투자 감소로 영국 경제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브렉시트 협상 대상에서 금융 서비스 분야가 제외되며 유럽연합 내 ‘패스포팅(Passporting)’ 권한을 상실하면서 금융사들의 해외 이전을 촉발
     

② 런던증권거래소의 경쟁력 저하
 

  • ①엄격한 상장 요건 ②상장 기업에 대한 낮은 가치 평가 및 상장 후 실적 저조 ③사모펀드 발달로 인한 거래 감소 ④국내 투자자의 배당주 위주 투자 성향 및 연기금의 영국 내 주식 투자 감소 ⑤전통 산업 중심 시장경제와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 부족 등으로 런던증권거래소 내 상장 기업 수와 시가총액, 거래량 등이 지속적으로 감소
     

③ 글로벌 금융 허브를 향한 경쟁 심화
 

  • [아시아, 중동 금융시장의 성장] 아시아 경제의 급성장과 함께 홍콩, 싱가포르 등이 글로벌 금융 허브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며 런던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약화

  • [부동의 1위 미국 뉴욕] 뉴욕은 우월적인 자본시장 규모와 유동성, 규제 환경의 유연성, 달러 패권의 구조적 이점에 기반한 글로벌 경제 영향력 등을 앞세워 세계 최고 금융 허브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음

□ 새로운 전환점 마련을 위한 런던의 개혁

① 장기 경제 성장 전략과 금융 산업 경쟁력 강화
 

  • [경제 성장을 위한 비전 발표] 금융 서비스 산업과 경제 성장을 위해 규제 개혁을 포함한 광범위한 성장 비전을 발표

  • [금융 서비스 및 시장법 개정] 브렉시트로 인한 충격 극복과 규제 주권 확립, 글로벌 금융 허브로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규제 병목현상을 해소하고 금융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선

  • [금융시장 개혁] 특정 법률이 아닌 금융시장 전반의 변화를 위한 전략 및 정책으로 금융 규제 개혁, 자본 규제 완화, 세제 개혁 등 정책적 변화와 구조적 개혁을 단행


② [런던증권거래소의 경쟁력 강화] 이중 상장 체계 통합, 주요 거래 규정 변경, 기업공개(IPO) 요건 완화 등 기업의 상장 환경을 개선하고 주주 친화 정책을 시행

③ [핀테크 산업 활성화 및 스타트업 지원] 글로벌 금융 기술 시장을 선도하는 아시아 및 미국과의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핀테크 기업과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핀테크 산업 혁신을 촉진

④ [ESG 투자 촉진 및 지속 가능한 금융시장 추진] ESG 관련 기업의 상장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ESG 플랫폼을 출시하는 등 지속 가능한 투자 환경 조성에 힘씀

전아영

KB경영연구소

전아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