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어

트럼프의 MAGA 복음과 함께 변화하는 미국 4화
시리즈 총 5화
2025.01.20

읽는시간 4

0

(1) 미국의 시대정신을 대표하는 정치인 트럼프

◼ 정치인 트럼프의 등장은 ‘위대한 미국의 부활’이라는 시대정신을 대변하며, 미국 우선주의 기조는 글로벌 정세의 변화에 따른 결과물로 볼 수 있음

○ 2000년대 이후 중국이 경제적으로 급부상한 가운데 군대의 현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러시아가 여전히 군사적인 위협 요인으로 잔존

 

・ 시진핑 중국 주석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022년 2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을 앞두고 “양국의 우정에는 한계가 없다”고 선언하며 민주주의 진영 국가들에게 힘을 과시

 

- 일각에서는 당시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가능성을 미리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

○ 한편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가 고립주의라는 평가가 있으나, 트럼프는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실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점으로 외교를 바라봄

 

・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국은 동맹국과 외교를 단절한 바 없으며, 동맹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되 적절한 보상을 받아야 한다는 스탠스를 취함

◼ 현재 미 우선주의 기조는 기존 워싱턴 컨센서스와 차별화된 새로운 축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보이나, 트럼프 2기 행정부 이후에도 꾸준히 지속될지 여부는 아직까지 불확실

(2) 트럼프 2.0 시대를 맞이하는 한국의 자세

◼ 한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이밀 새로운 청구서에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취임 초기 2년 동안 트럼프의 공세적 외교에 현명하게 대처해야 함

○ 한국과 미국은 2024년 10월 제12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을 타결했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재협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음

 

・ 기존 협정에 따르면 방위비분담금은 2025년 1조 4천28억 원에서 2026년 1조 5천192억으로 8.3% 인상되지만 2027년 이후에는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따라 증가할 예정

 

・ 한국은 2019년 트럼프 1기 행정부와 제10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을 맺은 바 있는데, 통상 유효 기간 5~6년 단위로 계약을 맺는 것과 달리 불확실성이 높은 1년 단위의 계약을 진행

 

- 방위비분담금은 2019년 전년 대비 8.2% 증가한 1조 389억 원, 2020년은 2019년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

 

※ 2020년 전년 대비 13% 증가하는 선에서 타결이 예상되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거부하여 협상이 결렬되었고, 바이든 행정부에서 양측 간 합의가 이루어져 2019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결정

 

・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제10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 협상 과정에서 방위비분담금으로 기존 10억 달러에서 5배 증가한 50억 달러(약 7조 원)를 요구한 전례가 존재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백악관 수석 보좌관 내정자인 수지 와일즈는 트럼프 행정부가 향후 2년간 대변혁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

 

・ 2026년 중간선거는 연방 하원의원이 전원 교체되고, 상원의원의 3분이 1이 새로 선출된다는 점에서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유권자들의 중간평가 성격을 지님

 

- 국정 운영에 대한 유권자들의 평가가 공화당이 행정부와 입법부를 모두 장악하는 레드 스윕(red sweep)의 지속 여부를 좌우할 전망

 

・ 따라서 2026년 중간선거를 기점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추진 강도는 다소 완화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집권 후반부에 북-미 정상회담¹⁰이 치적을 쌓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

¹⁰ 민경훈, 2023.12.25, “2024년 미국 대선전망 및 정책적 함의”, 주요국제문제분석 2023-41

○ 한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와의 거래를 위해 산업적 비교우위를 검토하고, 동맹국으로서 양국간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의제를 준비해야 함

 

・ 무엇보다 민관이 하나되어 트럼프 2기 행정부와의 네트워크를 다방면으로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

 

・ 이밖에 ‘트럼프가 미국 언론으로부터 한국과 협상을 잘했다고 평가받을 만한 것’과 ‘한국이 조용히 실리를 챙길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미리 준비할 필요

참고문헌

<국내 문헌>

강준만, 2016, “미디어 혁명이 파괴한 위선의 제도화 :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트럼프 현상”,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9권 제2호.

김애경, 2010, “세계금융위기와 베이징컨센서스의 대외적 확산”, 《동서연구》, 제22권 제2호.

김성택, 2024, “트럼프 2.0 이후 미국의 정책 패러다임 변화 방향 및 시사점”, 《Issue Analysis》.

권보람, 2024,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 정책 전망 : 외교 정책결정집단을 중심으로”, EAI 워킹페이퍼, 트

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⑤.

딜로이트, 2023, “마당은 좁히고 울타리는 높인다...바이든 정부가 추구하는 새로운 세계질서”.

도널드 트럼프, 2004, 『거래의 기술』, 이재호 역, 김영사.

도널드 트럼프, 2004, 『트럼프의 부자되는 법』, 이무열 역, 김영사.

도널드 트럼프, 2005, 『트럼프의 억만장자처럼 생각하라』, 김선희 역, 물푸레.

도널드 트럼프, 2007, 『CEO 트럼프 성공을 품다』, 권기대 역, 베가북스.

도널드 트럼프, 2008, 『도널드 트럼프 억만장자 마인드』, 김원호 역, 청림출판.

도널드 트럼프, 2010, 『최선을 다한다 말하지 말고 반드시 해내겠다 말하라』, 조동섭 역, 중앙북스.

도널드 트럼프, 2016, 『불구가 된 미국』, 김태훈 역, 이레미디어.

도널드 트럼프, 2017, 『트럼프, 강한 미국을 꿈꾸다』, 이은주ㆍ도지영 역, 미래의 창.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2024, 『자유무역이라는 환상』, 이현정 역, 마르코폴로.

로버트 슬레이터, 2006, 『트럼프의 성공 방식』, 김선희 역, 물푸레.

민경훈, 2023, “2024년 미국 대선전망 및 정책적 함의”, 주요국제문제분석 2023-41

밴디 리, 2018, 『도널드 트럼프라는 위험한 사례』, 정지인ㆍ이은진 역, 푸른숲.

서정건·차태서, 2017,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외교의 잭슨주의 전환”, 《한국과 국제정치》, 제33권 제1호.

서정건, 2024, “2024년 미국 대선 결과 분석과 미국 외교 전망”, 《아산정책연구원 Issue Brief》, 2024-34.

서정건, 2024,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양극화 정치”,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①.

손병권, 2024, 『티파니 운동과 위대한 미국 운동』,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송의달, 2024, 『신의 개입 : 도널드 트럼프 깊이 읽기』, 나남.

이현정, 2020, “워싱턴 컨센서스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 21》, 제11권 5호.

이혜정, 2021, “바이든의 미국 우선주의 : 중산층을 위한 외교”, 《한국정치연구》, 제30집 제3호.

임혜란, 2012, “대변환기의 국제정치경제질서 : 패권과 신자유주의 질서의 변환”, 《한국과 국제정치》, 제28권 제1호.

양준석, 2024, “미국 통상정책의 현재와 미래 : 보호주의 재림과 강화”,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②.

윤상우, 2014, “베이징 컨센서스 비판 : 라모와 아리기의 논의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제11권 제4호.

정구연, 2022, “트럼피즘과 트럼프 독트린 : 이민자 인식에 대한 포퓰리즘의 영향력 분석”, 《한국과 국제사회》, 제6권 제2호.

정구연, 2024, “미국 우선주의에 대한 공화당 내 다양한 해석과 미국 대외 정책에 대한 함의”, 《아산정책연구원 Issue Brief》, 2024-22.

정영우, 2024, “산업정책 논쟁으로 본 2024 미국 대선”,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④.

조지 로스·앤드류 제임스 멕린, 2010, 『도널드 트럼프의 백만장자 수업』, 최승욱·정원호 역, 중앙일보조인 스랜드.

차태서, 2024, , “신우파의 부상과 미래 미국”,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⑥.

하상응, 2024, “2024년 대통령 선거를 통해 본 미국 민주당의 미래”,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③.

<해외 문헌>

Colombatto, E., 2023, “The New Washington Consensus: What does it entail?”, Geopolitical Intelligence Services AG.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Nov. 17, 2022, “Polarised power : The three Republican ‘tribes’ that could define America’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Foreign Affairs, Sep. 29, 2021, “The Age of America First”.

Gore C., 2000, “The Rise and Fall of the Washington Consensus as a Paradigm for Developing Countries”, World Development, Vol 28, Issue 5,

Holmes, S., 2021, “Trump’s Long Shadow”, Teoria politica, Annali XI.

Independent, Dec. 15, 2024, “Romney admits the Trump MAGA agenda he stood up to now dominates Republican Party”.

Irwin, Douglas A., 2020, “The Washington Consensus stands test of time better than populist policies”,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Irwin, Douglas A. and O. Ward, 2021, “What is the Washington Consensus?”, Realtime Economics,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Politico, Nov. 9, 2016. “Trump pulls off biggest upset in U.S. history”.

Rodrik, D., 2006, “Goodbye Washington Consensus, Hello Washington Confusion?”,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XLIV (December 2006).

Serra, N. and J. E. Stiglitz, 2008, “The Washington Consensus Reconsidered”, Oxford University Press.

Schropp, S., 2024, “International Trade Policy under Biden:  The New Washington Consensus”, Mercatus Center, Policy Brief.

The Economist, May. 1, 2023, “A new world order seeks to prioritise security and climate change”.

The Financial Times, Apr. 19, 2023, “The new Washington consensus”.

The New York Times, Nov. 6, 2024, “Trump's america comeback victory signals a different kind of country”.

The White House, Apr. 27, 2023.,“Remarks by National Security Advisor Jake Sullivan on

Renewing American Economic Leadership at the Brookings Institution”, Speeches and Remarks.

Williamson, J., 1990, “Latin American Adjustment: How Much Has Happened?”, Washington, D.C. :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Williamson, J., 1993, “Democracy and the Washington consensus”, World Development, Vol 21, Issue 8.

Williamson, J., 2002, “What Washington Means by Policy Reform”, Speeches & Papers,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Williamson, J., 2002, “Did the Washington Consensus Fail?”, Speeches & Papers,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Williamson, J., 2004, “The Strange History of the Washington Consensus”, Journal of Post Keynesian Economics, Vol. 27, No. 2 (Winter, 2004-2005).

Williamson, J., 2006, “After the Washington Consensus : Latin American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Keynote speech at the Seminar on Latin American Financing and the Role of Development Banks organized by the IDB, BDMG, and ALIDE.

Williamson, J., 2009, “A Short History of the Washington Consensus”, Law and Business Review of the Americas, Vol. 15, No. 1.

배재현

KB경영연구소

배재현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