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전망 및 시사점

시리즈 총 5화
2025.04.14

읽는시간 4

0

■ 북한당국은 관광산업이 ‘대북제재’를 우회하여 합법적으로 외화 수입을 늘릴 수 있는 수단인 만큼 적극적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나설 것으로 전망

○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일부 중국인들과 구 동구권 국적자들에게 북한관광은 자신들의 유년시기를 추억하는 ‘홍색여행(红色旅游)¹⁹’ 혹은 ‘노스텔지어(추억) 여행’으로 알려져 주목을 받은 바 있음
 

  • 북한은 이들의 관심사를 반영해 자연경관, 북한주민 일상 체험 관련한 여행상품을 지속적으로 내놓을 것으로 보임

  • 외국인, 특히, 유럽인의 북한 방문 비용에는 중국 복수비자 수수료(유럽 쉥겐국가 기준 1인당 111유로)가 포함되는데, 최근 중국이 38개국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일방주의적 무비자 정책’은 이러한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기회로 북한당국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임

■ 트럼프 대통령의 ‘거래 외교’는 북한 관광산업에 기회 요인이자 제약 요인으로 작용될 것임

○ 대북제재 완화 및 해제의 키를 쥐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해안가의 콘도 역량을 언급하면서 관광산업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 점은 북한에 기회 요인
 

  •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거래 외교’를 통해 북한과 미국이 핵동결ㆍ비핵화와 대북제재 완화를 거래한다면 북한은 보다 안정적으로 외국인 관광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음

  •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무기화’ 정책이 전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여 전반적으로 해외 관광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은 북한에 제약 요인

    - 러우전쟁 여파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유럽인들이 지출 축소에 나설 경우 북한을 방문하는 유럽 관광객은 극소수에 불과하게 될 것임

■ 북한당국은 최근 미-중 무역 갈등 상황에서 ‘관광 개방’을 통해 대외 협상력을 제고할 수 있음

○ 그동안 중단되었던 중국인의 북한 단체관광을 양국정부가 허용할 경우, 북한당국은 안정적인 관광수입과 함께 비핵화와 관광투자를 거래하려는 미국과의 협상력 제고를 기대할 수 있음
 

  • 최근의 미-중 무역 갈등과 5월 러북정상회담 가능성에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나설 수 있으며 이 때 북한당국이 활용할 외교적 카드로 ‘관광 개방’이 주목되고 있음

  • 팬데믹 이전까지 중국인 관광객은 북한 외국인 관광객의 약 80% 이상을 차지했으나, 최근 북중관계 교착국면으로 양국이 중국인의 북한 관광을 허용하지 않고 있음

¹⁹ 중국에서 사회주의 혁명지를 답사하는 여행을 지칭하는 용어로 중국인들은 북한 여행시에도 ‘홍색여행’ 관점에서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현장이나 사회주의 유적지를 답사하는 것을 선호

[참고문헌]

❶ 학술논문

 

강채연, 2019, "김정은 시대 관광산업의 국제화전략과 협력의 선택적 이중구조", 「한국동북아논총」 제25집 제2호(통권 95호), 서울 : 한국동북아학회.

 

박은진, 2018, "북한의 관광산업 변화와 특징", 『KDB 북한개발』 2018년 여름호(통권 15호), 서울 : KDB 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이완구 외, 2018, "북한과 노스탤지어 관광 : 친숙성-신기성 연속체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반증", 「관광연구논총」 제30권 제4호(통권 7호), 서울 :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이해정ㆍ강성현, 2020, "문헌으로 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관광산업 인식", 「국가전략」 2020년 가을호 (제26권 3호), 성남 : 세종연구소.

 

이해정, 2024, "코로나19 이후 북한의 관광정책 추진 동향과 향후 전망", 『KDB북한개발』 2024년 여름호(통권 32호)

 

❷ 연구기관 보고서

 

김한규, 2022, "2010년대 북중 관광교류 추이와 코로나19 이후 주요 변화 전망," 『KDB 북한개발』 2022년 여름호(통권 26호), 서울 : KDB 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박은진, 2019, "북한의 관광산업 현황 및 전망", 「북한포커스」 , Weekly DKB Report, 서울 : KDB 산업은행.

 

이상근, 2023, "북한의 관광 활성화 정책 재추진 전망과 파급영향", 「 INSS 전략보고」 No.231, 서울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상근, 2024, "북한 관광산업 육성 정책 추진의 의미와 한계", 「이슈브리프」 578호(2024.07.25), 서울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황주희ㆍ나용우, 2025, "북한 관광산업 활성화와 통제의 딜레마", 「Online Series」 Co25-10, 서울 : 통일연구원.

 

❸ 북한원전

 

조중개발ㆍ공동관리 라선경제무역지대관리위원회, 2018, 『라선경제무역지대 투자소개』, 라선 : 조중개발ㆍ공동관리 라선경제무역지대관리위원회

 

❹ 기타

 

중국비자신청서비스센터, http://www visaforchina.cn

 

시드니한량의 세계여행, "북한여행 2025 EP1", https://youtu be /YmjLVmrA3cc?si=D5EOyG1oqlLlmeUS

 

The German Travel Guy, "North Korean Bank Account", https://youtube com/shorts/GDCzuJHbKuo?si=dR-toozu86HKy9ks

손광수

KB경영연구소

손광수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