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트럼프 쫄?...보다는 트럼프 풋!

2025.4.10 달러/원 환율 1,438~1,453원 전망
최신글
2025.04.10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관세 유예에 약 30원 갭 하락 출발 등 극심한 변동성 예상
    • 글로벌 동향,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에 뉴욕증시 급등, 위험선호 회복
    • 마켓 이슈, 미국 장기 국채금리 급등, 달러의 안전자산 신뢰도 약화 시사

달러/원 환율, 관세 유예에 약 30원 갭 하락 출발 등 극심한 변동성 예상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중 갈등 격화로 인한 위험회피에 장초반 1,487원으로 연고점 경신. 이후 미 달러화 지수 하락에 연동해 1,470원대 진입했으나, 중국 위안화 약세에 동조한 원화에 재차 상승

 

1,480원 부근에서 혼조세 보이며 전일 종가 대비 10.9원 상승한 1,481.1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국의 관세 협상 기대를 반영하며 큰 폭 하락, 1,472.0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전일 종가 대비 39.55원 급락한 1,442.0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새벽간 트럼프의 관세 유예 조치를 소화하며 갭 하락 출발 예상

 

현재 역외시장에서 환율은 야간장 종가보다 30원 정도 낮은 수준. 따라서 개장 직후 극심한 변동성 예상. 트럼프의 글로벌 관세 유예와 관세율 하향에 위험자산선호 심리 회복. 이는 지난주 대통령 탄핵 이후 저평가된 원화 자산에 긍정적. 금일 환율은 원화 강세 전환에 힘입어 급락 출발 이후 증시 흐름과 연동되며 하방이 우세할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4월 10일 주요 '환율' 전망에 대해서 나타내는 표이다. 달러/원, 유로/원, 엔/원(100엔), 위안/원의 전일 종가와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추이에 대해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에 뉴욕증시 급등, 위험선호 회복

전일 미 달러화는 트럼프의 상호관세 유예조치를 소화하며 강보합.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02% 소폭 상승한 102.99pt 기록. 전날 중국은 미국에 보복 관세율을 기존 34%에서 84%로 50%p 상향 조정

 

더불어 중국은 미국 기업 12곳을 수출 통제 목록에 등재. 중국 보복에 따른 미국 경제 타격 우려에 달러화 지수는 장중 101pt대까지 급락.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관세율을 기존 104%에서 125%로 추가 상향하며 맞대응

 

하지만 트럼프는 미국 자산 매도세를 의식하며 그 외 국가들의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각국 관세율을 기본관세인 10%로 일괄 하향 조정. 트럼프는 "국채시장을 주시하고 있으며, 불안감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다"라고 발언하며, 이번 관세 유예 조치가 시장을 의식한 조치임을 인정. 관세 유예 발표 직후 달러화 지수는 급반등. 뉴욕증시 3대 지수 역시 급등, 특히 나스닥 지수는 12.16% 폭등 마감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의 '전일대비 종가'를 보여주는 표이다. 달러화(DXY), 유로/달러(USD), 달러/엔(JPY), 파운드/달러(GBP), 달러/위안(역외, CNH), NDF 1M(원), 1개월 스왑포인트를 전일 대비 종가를 나타낸다.

마켓 이슈, 미국 장기 국채금리 급등, 달러의 안전자산 신뢰도 약화 시사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와 중국의 보복 등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심화하는 가운데, 미국 달러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는 조짐. 우선 미국의 주요 주가지수 (다우, 나스닥, S&P500)는 연초 대비 하락세

 

미 달러화 지수 (DXY)도 유로 및 엔의 상대적 강세에 연초 대비 6% 가까이 하락. 대표적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의 금리도 장기물 위주로 급등 (국채 가격 급락). 이는 미국 3대 금융자산 (주식, 통화, 채권)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 것을 시사하며, 특히 장기 국채금리의 급등은 미국 달러의 안전자산 신뢰도가 약화한 것을 암시

 

글로벌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동시에 미국의 경제까지 침체 국면에 빠진다면, 달러의 안전자산 신뢰도는 더욱 약화할 소지.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장기 국채금리 급등 등 채권시장 반응을 고려해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 하지만 금리 하락은 제한적이었다는 점에서 안전자산 신뢰 회복은 아직 요원

미국 장기 국채금리 급등 (안전자산 신뢰 약화)

미국 장기 ‘국채금리’가 ‘급등’함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을 보여주는 표이다. 달러/원, 유로/원, 엔/원(100엔), 위안/원, CDS 5년물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전일비를 나타낸다.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에 대해 나타내는 표이다. KOSPI, KOSDAQ, 국채 선물, 달러 선물의 금융시장, 주체별 수급을 보여준다. 금융시장에서는 종가와 전일비를 주체별 수급은 십억원 단위로 외국인, 개인, 기관계의 수급 동향을 보여준다.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을 나타내는 표이다. USD/CAD, USD/SEK, USD/CHF, AUD/USD, USD/BRL, USD/MXN, USD/RUB 등의 종가와 전일비를 보여준다.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에 대해 나타내는 표이다. S&P 500, 미국 나스닥, 독일 DAX30, 일본 Nikkei, 중국 상해, 홍콩 항셍, 인도 센섹스 지수의 종가와 전일비를 보여준다. 그리고 일본, 독일, 영국, 중국의 10년물과 WIT근월물, LME 구리, 금 근월물의 종가를 보여주고 있다.'글로벌 금융시장 동향'에 대해 나타내는 표이다. S&P 500, 미국 나스닥, 독일 DAX30, 일본 Nikkei, 중국 상해, 홍콩 항셍, 인도 센섹스 지수의 종가와 전일비를 보여준다. 그리고 일본, 독일, 영국, 중국의 10년물과 WIT근월물, LME 구리, 금 근월물의 종가를 보여주고 있다.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의 '채권 금리 동향'을 나타내는 표이다. 한국의 Call금리, 1,3,10,30년물 그리고 CD 3개월 금리의 종가를 보여준다. 미국 채권으로는 FFR, 3개월, 2,10,30년, Libor 6개월 금리를 종가와 함께 보여주고 있다.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를 나타내는 표이다. IRS와 CRS의 1년,3년,5년물의 지표를 알려주고 있다.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을 나타내는 표이다. 전일, 금일, 익일로 총 3일간의 전 세계 주요 경제지표 일정을 나타낸다.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