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불안심리 완화에 환율 안정적 흐름

오늘의 달러/원 환율 1,236~1,246원 전망
2023.01.11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국채와 증시, 원유 등 금융시장 안정에 환율 박스권 등락
  • 글로벌 동향, 파월 연준 의장의 물가안정 발언에도 시장은 혼조 지속
  • 마켓 이슈, 미국 물가상승압력 둔화에도 여전히 높은 물가 수준

달러/원 환율, 국채와 증시, 원유 등 금융시장 안정에 환율 박스권 등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의 물가상승세 둔화와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 기대, 중국 위안화 강세에 원화도 강세하며 하락 출발했으나, 국내 11월 경상수지 적자 소식과 아시아 및 국내 증시 혼조에 환율 상승, 종가는 1.20원 상승한 1,244.7원에 마감함


NDF 역외환율은 제롬파월 연준 의장의 물가안정 발언에도 12월 소비자물가 둔화 전망과 뉴욕증시 상승, 달러 혼조에 전일 종가대비 2.6원 하락한 1,241.0원에 호가됨


금일 달러/원 환율은 달러화의 강보합에도 뉴욕증시 상승 등 위험회피심리 완화, 역외환율 하락을 감안하여 전일과 유사한 1,240원 수준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금주에는 12일 목요일 저녁 발표될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와 13일 예정된 한국은행 금통위의 금리인상 여부가 관건임. 국제유가와 주요국 채권 시장이 안정을 보이고 있고, 경기둔화 우려에도 물가안정이 확인되고 있어 환율은 박스권 흐름이 예상됨

금일 주요 환율 전망

2023년 1월 11일, 금일 주요 환율 전망을 나타낸 지표. 국채와 증시 ,원유 등 금융시장 안정에 환율 박스권 등락.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2023년 1월 11일,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파월 연준 의장의 물가안정 발언에도 시장은 혼조 지속

전일 미 달러화는 유로화에 대해 소폭 약세, 일본 엔화와 영국 파운드화에 대해 강세를 보임. 주요 6개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07% 상승한 103.27pt를 기록함


뉴욕 증시는 3대 지수 모두 상승했고, 미국채 금리도 단기와 장기 모두 상승함. 미국 물가상승압력이 둔화세를 보이는 가운데 연준의 금리인상 가속 전망은 약화됨


전일 제롬 파월 의장은 스톡홀롬 연설에서 물가안정을 강조하는 발언을 이어감. 연준 인사들은 물가 안정을 위해 5% 이상의 금리 수준이 한 동안 지속될 필요가 있다는데 동의함


그럼에도 오는 12일 발표될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의 둔화가 예상되는 점과 뉴욕증시의 기업실적 발표 앞두고 시장은 다소 혼조세를 보이고 있고, 좁은 박스권에서 등락하고 있음. 국제유가는 달러화 약세와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 기대에 상승세를 이어감

주요 통화 전일 동향

2023년 1월 11일, 주요 통화 전일 동향을 나타낸 지표. 파월 연중 의장의 물가안정 발언에도 시장은 혼조 지속.

자료: 인포맥스, NDF 환율 = 현물환율 + 1개월 스왑포인트

마켓 이슈, 미국 물가상승압력 둔화에도 여전히 높은 물가 수준

오는 12일 발표될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월대비 0.1%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1주일 전에만 해도 보합 수준이 예상되었으나, 경제지표 부진을 감안하여 물가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함


물가가 예상에 부합할 경우 전년 동월대비로는 6%대 중반으로 전월 7% 수준에 비해 낮아질 전망. 그럼에도 전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나 다수의 연준 인사들은 여전히 미국이 높은 물가 수준으로 경제가 좋아지기 어려울 것으로 평가함


연준에서는 물가 목표치를 2%로 두기 때문에 향후 12개월 이내 물가상승률이 2%대로 하락해야 물가하락이 확인되었다고 평가할 것임. 결국 물가는 점진적 하락이 확인되고 고용시장이 현재보다 더 부진해야 할 것임. 그럼에도 물가둔화만으로 달러화 지수는 하락, 달러는 약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미국 소비자물가 둔화에 달러화 지수 하락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나타낸 그래프. 물가상승압력 둔화에도 여전히 높은 물가 수준을 나타냄.

자료: 인포맥스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2023년 1월 11일, 국내 외환 시장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2023년 1월 11일,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2023년 1월 11일,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2023년 1월 11일,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2023년 1월 11일,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2023년 1월 11일, IRS/CRS 및 Swap Point를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2023년 1월 11일, 주요 경제지표 일정.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