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물가 둔화 전망에 환율 하방 지속

오늘의 달러/원 환율 1,237~1,247원 전망
2023.01.12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미국 12월 물가 하락 전망에 환율 하방 흐름 기대
  • 글로벌 동향,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 전망에 시장 안정, 달러는 보합
  • 마켓 이슈, 미국 연준의 2월 회의에서 0.25%p 금리인상 전망 우세

달러/원 환율, 미국 12월 물가 하락 전망에 환율 하방 흐름 기대

전일 달러/원 환율은 뉴욕증시 상승 등 위험회피심리 완화에 개장부터 하락 출발하여 낙폭이 확대되기도 했으나, 역외에도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역외 달러 매수 유입 등에 환율은 상승, 종가는 1.50원 상승한 1,246.2원에 마감함


NDF 역외환율은 연준 인사의 긴축 속도 조절 발언과 뉴욕증시 상승, 미국채 금리 하락 등에 전일 종가대비 3.10원 하락한 1,242.0원으로 호가됨

 

금일 달러/원 환율은 뉴욕증시 상승 등 위험회피심리 완화와 역외환율 하락을 감안, 전일과 유사한 1,240원 초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미국의 물가상승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뉴욕증시의 상승과 미국채 금리 하락 등 시장이 안정을 보임에 따라 환율도 하방 흐름이 예상됨. 하지만 세계은행의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 미국 물가 둔화 기대의 선반영, 대외 수출입 부진 등이 지속되고 있어 환율도 혼조세를 보일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2023년 1월 13일, 금일 주요 환율 전망을 나타낸 지표. 미국 12월 물가 하락 전망에 환율 하방 흐름 기대.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2023년 1월 12일,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 전망에 시장 안정, 달러는 보합

전일 미 달러화는 일본 엔화에 대해 강세를 보였지만 유로화에 대해 약세, 주요 6개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전일과 유사한 103.27pt를 기록함. 미국 12월 소비자물가 등 주요 지표 발표를 앞두고 물가상승세 둔화 전망과 연준의 긴축 우려 완화 등에 뉴욕 증시는 상승, 미국채 가격도 상승함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에 대해 시장은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6.5% 상승할 것으로 예상함.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뉴욕타임스와 인터뷰에서 2월 초 정례회의에서 0.25%p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함


점진적 금리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발언하여 연준의 긴축 속도가 더 지연될 것으로 해석됨. 그럼에도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와 물가둔화에 대해 이미 시장에 선반영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국제유가 역시 긴축 우려 완화에 상승, 배럴당 77달러를 회복함

주요 통화 전일 동향

2023년 1월 12일, 주요 통화 전일 동향을 나타낸 그래프.

자료: 인포맥스, NDF 환율 = 현물환율 + 1개월 스왑포인트

마켓 이슈, 미국 연준의 2월 회의에서 0.25%p 금리인상 전망 우세

전일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의 0.25%p 금리인상 발언으로 시장은 다음 2월 1일과 2일 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 위원들이 0.50%p보다 0.25%p 인상을 결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Fed Watch에서 집계한 연준의 금리인상 확률은 0.25%p 인상 낮아졌으며, 0.75%p 인상 확률은 제로임. 또한, 연준의 최종 목표금리에 대한 전망 역시 5.0% 확률이 가장 높음


2월 다음 회의가 3월 중순에 예정되어 있어 2월과 3월 각각 0.25%p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최종 목표금리는 5.0%에 도달함. 그 다음 5월 등 2분기 회의는 미국의 물가상승 둔화 속도, 고용 등 경제지표, 경기침체 여부에 달림. 시장은 연준이 물가상승 둔화로 금리인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함

미국 2월 회의에서 25bp 금리인상 확률 상승

미국연준의 2월 회의에서 0.25%p 금리인상 전망 우세.

자료: Fed Watch (2023.1.11)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2023년 1월 12일, 국내 외환 시장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2023년 1월 12일,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2023년 1월 12일,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2023년 1월 12일,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2023년 1월 12일,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을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2023년 1월 12일, IRS/CRS 및 Swap Point를 나타낸 지표.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2023년 1월 12일, 주요 경제지표 일정.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