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월 고용지표 호조에 역외환율 급등

오늘의 달러/원 환율 1,242~1,252원 전망
2023.02.06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미 고용 호조에 역외환율 급등, 외국인 증권투자에 영향
  • 글로벌 동향, 미국 고용 및 서비스 업황 호조로 금리 상승, 달러 강세
  • 마켓 이슈, 미국의 1월 고용 서프라이즈, 서비스업 업황 호조 시사 

달러/원 환율, 미 고용 호조에 역외환율 급등, 외국인 증권투자에 영향

지난 3일 달러/원 환율은 유로 ECB와 영국 BOE의 0.50%p 빅 스텝 금리인상에도 유로화와 파운드화가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이고, 아시아 시장에서도 달러 강세가 지속됨에 따라 종가는 9.1원 상승한 1,229.4원에 마감함

 

NDF 역외환율은 미국 1월 고용지표의 호조와 ISM 서비스업 지수의 서프라이즈 소식에 미국채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지속으로 18.85원 급등한 1,247.0원에 호가됨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달러화의 강세와 역외환율 급등으로 1,240원대 중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미국 고용지표 호조로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는 약화되었으며, 미국채 금리 상승에 달러화는 강하게 반등함

 

역외환율이 큰 폭 상승하여 금일 환율이 갭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되며 장중 상승 폭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도 예상되나, 국내 증시 조정 및 외국인 증권투자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됨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을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6일, ‘유로화’와 ‘파운드화’가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이고, ‘아시아’ 시장에서도 달러 강세가 지속됨에 따라 종가는 9.1원 상승한 1,229.4원에 마감함.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를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6일,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달러화'의 강세와 '역외환율' 급등으로 1,240원대 중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추이를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6일,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달러화의 강세와 역외환율 급등으로 1,240원대 중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미국 고용 및 서비스 업황 호조로 금리 상승, 달러 강세

지난 3일 미 달러화는 고용지표 및 서비스업 업황 호조로 강세를 보임. 주요 6개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1.27% 급등한 103.00pt를 기록함. 뉴욕증시 개장 전 발표된 미국 1월 고용은 전월치는 물론 예상치를 크게 상회함

 

비농업 신규 취업자수는 전월에 비해 51만 7천명 증가하여 예상치 18만 8천명을 두 배 이상 상회함. 실업률 역시 3.4%로 전월치 3.5%를 하회했으며 지난 196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함.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에 비해 0.3% 상승, 전년동월대비로는 4.4% 상승함

 

ISM 서비스업 지수 역시 55.2로 전월치 49.6과 예상치 50.5를 모두 상회함. 이러한 미국 고용과 서비스업 호조는 미국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를 약화시키며 미국채 금리는 큰 폭 상승했고, 뉴욕 증시는 하락,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임. 국제유가는 3% 이상 하락함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을 나타내는 표. 2023년 2월 6일, 미국 ‘고용’과 ‘서비스업’ 호조는 미국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를 약화시키며 ‘미국채 금리’는 큰 폭 상승했고, 뉴욕증시는 하락,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임.

자료: 인포맥스, NDF 환율 = 현물환율 + 1개월 스왑포인트

마켓 이슈, 미국의 1월 고용 서프라이즈, 서비스업 업황 호조 시사

지난주 발표된 1월 민간 고용이 전월치는 물론 시장 예상치를 모두 큰 폭으로 상회, 사실상 서프라이즈한 것으로 나타남. 비농업 신규 취업자수는 51만 7천명이 증가했고, 전월 및 전 전월 고용도 모두 3만명 이상 상향 조정됨

 

1월 고용 호조는 상품제조업, 그리고 서비스업, 정부 고용도 모두 증가함. 서비스업 고용은 전월보다 39만 7천명이 증가함. 교육건상과 보건지원, 레저병원 등에서 전월에 비해 약 30만명 가까이 급증함.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 모두 상승, 실업률은 3.4%로 최저치를 기록함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등 긴축 강화에도 불구하고 고용이 호조를 이어간 배경은 여전히 민간부문의 구인건수가 여전히 많기 때문. 미국의 12월 구인건수는 1,100만건에 달하는 반면 실업자는 570만명을 하회, 고용 호조로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는 더욱 약화될 전망

미국 1월 고용 호조, 신규 취업자수 큰 폭 증가

2023년 2월 6일, 미국 1월 고용 호조, 신규 취업자수 큰 폭 증가.

자료: 인포맥스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2023년 2월 6일,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2023년 2월 6일,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2023년 2월 6일,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2023년 2월 6일,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2023년 2월 6일,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2023년 2월 6일,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2023년 2월 6일, 주요 경제지표 일정.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