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을 알아볼 때 내가 세대주인지, 세대주 뜻과 조건이 궁금했던 적 있으신가요? 세대주는 세대의 대표자로, 청약을 신청할 때나 각종 행정적인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
집을 구할 때 세대주, 세대원, 무주택세대구성원 같은 개념을 미리 알아두면 헷갈리지 않고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세대주 뜻부터 세대주 세대원 차이, 그리고 공공임대주택의 자격 요건인 무주택세대구성원까지 살펴볼게요.
읽는시간 4분
주택청약을 알아볼 때 내가 세대주인지, 세대주 뜻과 조건이 궁금했던 적 있으신가요? 세대주는 세대의 대표자로, 청약을 신청할 때나 각종 행정적인 절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
집을 구할 때 세대주, 세대원, 무주택세대구성원 같은 개념을 미리 알아두면 헷갈리지 않고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세대주 뜻부터 세대주 세대원 차이, 그리고 공공임대주택의 자격 요건인 무주택세대구성원까지 살펴볼게요.
세대주 세대원 차이
세대주 뜻
세대주란 세대의 대표자를 말해요. 주민등록등본에서 가장 위에 표시되고, 세대주 관계에 ‘본인’으로 나오는 사람이죠. 반면 세대원은 주민등록등본에서 세대주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원을 뜻해요. 일반적으로 한 집의 세대주는 한 명이지만, 절세나 청약 신청의 이유로 세대를 분리하면 세대주가 두 명 이상이 되기도 해요.
세대주 | 세대의 대표자. 주민등록등본에서 세대주와의 관계에 '본인'이라고 적힌 사람 |
세대원 | 주민등록등본에서 세대주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원 |
아파트 세대 뜻
여기서 말하는 세대란 현재 함께 살고 있으며 주민등록등본에 등재된 배우자, 부모, 자녀 등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말해요. 즉, 주민등록등본에 함께 등록된 사람들로 조부모와 손주(배우자 포함)까지 해당하는 거죠.
부모(조부모)는 직계존속, 자녀(손주)는 나와 직계비속의 관계예요.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을 통틀어 ‘직계존비속’이라 부르는데요. 직계존비속은 세대구성원에 해당해요. 며느리나 사위, 배우자의 부모는 직계존비속은 아니지만 세대구성원으로 인정돼요.
💡 알면 도움되는 용어
세대구성원 기준
세대구성원 뜻
본인을 포함하여 함께 세대를 구성하는 사람을 ‘세대구성원’이라고 부르는데요. 세대구성원과 관련하여 알아두면 좋을 3가지 사항을 알려드릴게요.
*부부가 같은 집에 살지만 행정상 서로 다른 세대로 구분되는 경우(예. 한 사람은 세대주, 한 사람은 부모와 함께 세대를 이루는 세대원)
무주택 세대주 뜻, 무주택 세대주 기준
무주택 세대주란?
무주택 세대주는 세대주와 세대원 모두 주택이나 분양권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의 세대주예요.
예를 들어 아버지가 세대주로 등록된 3인 가족(아버지, 어머니, 자녀)이 있다고 가정할게요. 부모님과 자녀 모두 소유한 주택이 없다면 아버지가 무주택 세대주예요.
또, 내가 소유한 주택이 없는데 혼자 사는 1인 가구라면 본인이 무주택 세대주가 돼요.
무주택세대구성원이란?
무주택세대구성원은 세대에 속한 사람 모두가 주택이나 분양권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의 구성원이에요.
관계 | 세대구성원 여부 |
본인 | - |
배우자 | O |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 | O |
배우자의 직계존속(배우자의 부모, 조부모 등) | O |
자녀, 손주 | O |
사위, 며느리 | O |
형제, 자매 | X |
배우자의 형제, 자매 | X |
즉, 본인과 본인의 배우자, 직계존속, 직계비속에 해당하는 사람 모두가 주택 또는 분양권을 소유하지 않았다면 이들 모두가 무주택세대구성원이 되는 거예요.
🔎 헷갈리기 쉬운 세대구성원의 범위
무주택세대구성원이 되려면 세대구성원 모두 주택이나 분양권이 없어야 하지만, 부모님이 만 60세 이상이라면 주택이나 분양권을 소유했더라도 무주택자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 단, 공공분양과 민간분양에서 인정되며 공공임대주택과 노부모부양 특별공급을 신청할 때는 인정되지 않아요.
Tip! 부모님 소유 주택이 공동명의인지 확인하세요
부모님이 소유한 주택이 공동명의라면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만 60세를 넘겨야 해요. 만약 부모님 둘 중 한 분이 만 60세 이하라면 무주택자로 인정되지 않아요.
세대주 세대원 변경
세대주 변경방법
세대주 변경하는 법은 2가지예요.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세대주를 직접 변경하거나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돼요.
① 정부24 홈페이지 로그인
② 검색창에 ‘주민등록정정신고’ 입력
③ 검색 결과 화면에서 서비스 바로가기에 있는 [주민등록정정(말소)신고] 선택
④ [신고하기] 선택
⑤ 변경할 내용 입력 후 [민원신청하기] 선택
세대주 뜻부터 세대주 세대원 차이, 무주택 세대주와 무주택세대구성원 뜻까지 살펴봤어요. 청약을 신청할 때나 세금 혜택을 받을 때 세대주 여부가 중요하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아요. 특히 무주택세대구성원 여부는 청약1순위 자격을 얻는 데도 꼭 필요해요. 세대주 뜻을 시작으로 오늘 배운 용어를 기억하면, 내 상황에 맞는 주택 정책을 더욱 잘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이 콘텐츠는 2025년 2월 1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오직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로 경제와 투자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 및 배포되었습니다. 청약홈 홈페이지, 시흥시 주거복지센터 홈페이지,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식 블로그를 참고했습니다.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