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주택 전세시장 전망

2025년 KB 부동산 보고서 4화
시리즈 총 9화
2025.03.16

읽는시간 4

0

2025년 주택 전세가격은 수도권은 상승, 비수도권은 상승과 하락 전망 혼재

2025년 전국 주택 전세가격에 대해 부동산전문가의 62%, 공인중개사의 61%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상승폭에 대해서는 부동산전문가는 1~3%, 공인중개사는 0~1%를 내다본 의견이 가장 많았다.

 

2024년 조사 결과와 비교해 전세가격 하락 전망은 줄고 상승 전망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전세 수급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전세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최근의 시장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2025년 전국 주택 전세가격 전망

2025년 전국 '주택 전세가격' 전망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KB경영연구소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주택 전세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부동산전문가의 70%, 공인중개사의 68%는 2025년 수도권 주택 전세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상승폭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부동산전문가는 전세가격이 1~3%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27%로 가장 많았으며, 3~5%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23%로 다음으로 높았다. 반면 공인중개사는 전세가격 상승폭이 0~1% 수준일 것이라는 의견이 29%로 가장 많았고, 1~3%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23%로 다음으로 높았다.

비수도권 주택 전세가격에 대해서는 상승 전망과 하락 전망이 팽팽하게 맞섰다. 부동산전문가는 상승 전망이 52%로 하락 전망에 비해 소폭 높았지만 공인중개사는 상승 전망과 하락 전망이 50%로 같았다.

 

비수도권 전세가격 상승폭에 대해 부동산전문가는 0~1% 수준일 것이라는 전망이 가장 많았지만 공인중개사는 0~1%와 1~3% 상승을 예상한 비율이 비슷하였다. 하락폭에 대해서는 부동산전문가와 공인중개사 모두 -1 ~ 0% 수준일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지만, 부동산전문가는 다른 항목과 응답률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의견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2025년 지역별 주택 전세가격 전망

2025년 지역별 주택 '전세가격' 전망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KB경영연구소

전세가격 상승과 하락의 핵심 요인은 전세 수요 변동

전세가격 상승 요인으로는 신규 입주물량 감소와 매매 수요 감소에 따른 전세 수요 증가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다음으로 자금 조달 어려움에 따른 매수 전환 수요 감소와 정부 정책 지원에 따른 전세 수요 증가가 많았다. 부동산전문가는 신규 입주 물량 감소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으며, 공인중개사는 매수 수요 감소로 인한 전세 수요 증가를 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전세가격 하락 요인으로는 정부 정책 지원 축소와 전세 대출 규제 등에 따른 수요 감소, 보증금 미 반환 등에 따른 전세시장 불안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부동산전문가는 매수 수요 증가에 따른 전세 수요 감소를, 공인중개사는 높은 전세대출 금리로 인한 이자 부담을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였다.

주택 전세가격 상승 요인 및 하락 요인

주택 '전세가격' '상승' 요인 및 '하락' 요인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KB경영연구소

임대차시장에서 월세 거래 비중은 증가세 지속

임대차시장에서 월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서는 부동산전문가의 78%, 공인중개사의 56%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응답자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공인중개사의 59%, 비수도권 공인중개사의 52%가 월세 거래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체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4년 57.6%로 2023년 54.9% 대비 2.7%p가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 평균 46.2%보다 11.4%p가 높았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향후 월세 거래 비중 전망

향후 '월세 거래' '비중 전망'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KB경영연구소

임차인의 보증금 미 반환 불안과 임대인의 월세 수익 선호가 월세 거래 증가의 주요 원인

임차인의 월세 선호 현상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전세사기 등으로 보증금 미 반환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높은 전세가격에 따른 자금 마련 부담, 전세자금대출 규제와 전세 보증 가입 요건 강화가 높게 나타났다.

임대인의 월세 선호 현상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안정적 월세 수익 확보와 수익률 제고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임대수익 목적의 주택 매수 증가와 계약 만기 후 전세금 반환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의견이 많았다. 부동산전문가는 임대수익 목적의 매수 증가를, 공인중개사는 전세금 반환 부담을 더 비중 있게 평가하였다.

최근 월세 거래 증가 원인

최근 '월세 거래' '증가' 원인을 보여주는 그래프다.

자료: KB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팀

KB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