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고 아파트값이 바로 떨어질 것 같지는 않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공약에서 공급을 늘리되 초고가 아파트를 대상으로 가격 상승 억제 정책을 쓰지 않겠다고 밝혔다. 양도세나 종부세 같은 세금 중과 정책으로 집 값을 잡는 정책을 펴지 않겠다는 뜻이다.
하지만 조정대상지역이나 투기 과열지구는 지정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부동산 시장 관리 방안이기 때문이다. 이런 규제정책으로도 안정화되지 않으면, 2차 카드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 지정할 가능성도 있다. 고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강남과 용산 일대 아파트값은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승률은 둔화될 가능성이 높을 듯하다. 전 고점(2021년 4분기)을 돌파할 만 큼 급상승하기에는 부담감과 피로감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분기 말 현재 아파트 실거래가 기준으로 전 고점을 돌파한 곳은 서울 강남·서초·용산구와 경기도 과천 등 4곳이다.
여러 채를 투자하기보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에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이들 지역으로 몰렸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도 강남 일대 아파트가 신고가를 경신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하반기 이후에는 중저가 주택 가격이 회복하면서 상급지와 갭 메우기 장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 당국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연 소득이 1억원인 사람이 30년 만기, 연 4.2% 금리의 혼합형(5년 고정+이후 변동금리), 원리금 균등상환 조건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다고 가정할 때 7월부터 시행되는 3단계 DSR에서는 5억9,000만원으로 종전 보다 3,000만원 정도 줄어든다.
집을 살 때 대출을 많이 내는사람, 고가주택 일수록 DSR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2022년 미국발 고금리 쇼크가 상륙하면서 전국 아파트값이 곤두박질쳤지만, 그동안 인기 지역만 회복하고 비인기 지역이나 외곽 지역은 침체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 하고 있다. 실제로 수도권에서도 1분기 말 기준 전 고점보다 20% 이상 떨어진 곳이 수두룩하다.
경기도 양주(-28%)·오산(-25.8%)·의정부(-24.1%)·의왕 (-23%)·군포(-22%)·고양(-20.7%)·광명(-20.3%), 인천 연수(-25.5%)·계양구(-23.1%), 서울 노원(-21.9%)·도봉구(-21.7%) 등이 대표적이다. 하반기 현재 연 2.5%인 기준 금리가 한 두 차례 더 인하되면 그만큼 시장에 유동성(돈)이 풀린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마련이다.
상대적으로 시세가 낮거나 저평가된 곳으로 유동성이 유입될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지난 2017~2021년처럼 상급지, 하급지 가릴 것 없이 무차별 상승세가 나타나기는 힘들지만, 일정 부분 순환매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