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중국 탐방의 목적: 중국발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 점검
- 중국 경제: 정부의 부양기조로 경기 하단은 지지. 2019-2020년 성장률 6.2%, 5.7% 전망
- 중국 크레딧: 정부의 정책 지원으로 단기간 내 문제 발생가능성 제한적
- 중국 부동산: 2020년에도 부동산 규제 지속으로 리스크 완화
- 중국 주식시장: 10월 이후 변동성 확대 예상, 섹터별 옥석 가리기 본격화 전망
■중국 탐방의 목적: 중국 발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 점검
지난 5월 20년만에 처음으로 중국 정부가 민간 지방은행인 바오상은행을 국유화하면서 은행 구조조정에 직접적으로 개입했다.
중국의 경기둔화가 지방정부 산하의 국유기업 및 민간기업의 유동성 경색을 유발하여 회사채 시장, 은행권 부실자산 확대 등 전반적인 금융시장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확대되었다.
주요 금융기관을 탐방 한 결과, 중국의 경기 및 크레딧 상황은 ‘위기’보다는 ‘둔화’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경기침체로 인해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1.
중국 경제: 정부의 부양기조로 경기 하단은 지지.
2019-2020년 성장률 6.2%, 5.7% 전망
중국 경제 성장둔화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다.
10월 내 미중 무역협상에서 ‘스몰딜’에 대한 기대는 높아지고 있지만, 완전한 협상 타결은 아닐 것이라는 점에서 경기 둔화 흐름을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다.
KB증권은 중국경제성장률이 2019년 6.2%에서 2020년에는 5.7%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중국 정부는 내부적으로 경기를 안정시키기 위해 경기부양기조를 강화할 것이며, 하반기 이후 특히 통화정책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민은행은 가파른 속도는 아니지만, 2020년 말까지 지준율 및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 하단을 지지할 전망이다.
다만.
위안화 절하로 자본유출의 강도는 확대될 수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