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정책 지원: ① 디지털 실크로드 전략, ② 해외 물류센터 확보, ③ 글로벌 유통채널 강화
- 경기 진단: 중국이 저가상품을 선호하게 된 이유. 불가피한 해외시장 진출, 다음 타자는 틱톡샵
- 산업 점검: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산업 성장에 따른 기회와 위험요인
- 투자 아이디어: P를 낮추는 구간에는 생산 확대와 연동되는 ‘유틸리티, 운송’ 선호
■정책 지원: ① 디지털 실크로드 전략, ② 해외 물류센터 확보, ③ 글로벌 유통채널 강화
지난 2024년 6월 중국 상무부 등 9개 부처가 공동으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수출 지원을 위한 해외 물류센터 건설 의견>을 발표했다.
이커머스 기업이 해외사업 확장을 위해 물류센터를 건설하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정부가 나서서 해외 물류센터 구축을 지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해당 정책에서 여러 번 강조되는 단어인 대형 이커머스 기업 간 ‘데이터 공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효율정 제고에 그 목적이 있다.
2015년 발표했던 중국제조 2025 (국산화율 제고)와 일대일로 전략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상품 (통신장비,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등)들을 해외로 공급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실크로드 (글로벌 디지털 인프라에서의 영향력 강화)를 구축하고자 했으나, 미국의 제재로 계획을 실행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방향을 변경해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저가전략을 활용한 해외시장 진입, 거래 데이터 확보, 해외 물류센터 구축, 글로벌 유통채널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