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ve

화학 (151010) 주가전망

Monthly (7월) - 정유의 이유 있는 마진 강세
25.07.17
읽는시간 1분

퀵하게 보기

  • [유가] 60$/b 바닥 확인 후, 5~7월 회복. 3Q 하락/상승 시나리오는?
  • [정유] 강세 요인: 폐쇄 Cycle & 중국 Teapot의 구조적인 몰락
  • [화학] Down-Cycle 지속. 2018~19년의 악몽
■[유가] 60$/b 바닥 확인 후, 5~7월 회복.
3Q 하락/상승 시나리오는?

Brent ($/b): 24년 말 (72.8$) → 1Q25 (76.8$) → 2Q25 (66.9$) → 7월 (70.1$)

유가는 OPEC의 증산 가속 및 미국 관세 우려로, 6월 초 59.6$/b까지 하락해 이슈가 되었다.
하지만, 예상대로 유가는 60$/b (미국 Shale Oil BEP 및 EU/G7의 러시아산 구매 상한제 가격) 수준에서 지지 → 6월 이스라엘-이란 전쟁에 생산량 감소 및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로 반등 → 7월 안정화 되었다.
하반기는 두가지 시나리오를 생각해볼 수 있다.



[러시아 원유 제재 변동: 하향 안정화] EU가 7월말 회의 (18차 경제 제재 패키지)에 러시아산 원유 구매 상한제 가격을 시장 연동 (예: 기준 원유에서 -15% 할인) 할 것을 제시했다.
EU/G7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 상한제에도 ① 협상국이 아닌 중국/인도 등이 러시아산 저가 원유를 구입해 원가 우위를 누리고 있으며, ② 이에 따라 러시아의 생산량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 이유였다.
통과된다면, 일부 EU/G7 정유사들은 러시아산을 할인된 가격에 계약/도입할 수 있고, 수요처가 늘어나 러시아가 생산량을 늘린다면, 유가는 약보합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작게

보통

크게

0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