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2025년 2분기 실적 요약
- 2025년 하반기 부문별 시장 전망 및 사업 계획
- 2025년 3분기 가이던스 및 경영진 코멘트: 범용 D램 및 HBM 마진 축소될 것
■2025년 2분기 실적 요약
ㅡ 삼성전자 2025년 2분기 실적은 매출액 74.6조원 (-6% QoQ, +1% YoY, 컨센 -2.3% 하회), 영업이익 4.7조원 (-30% QoQ, -55% YoY, 컨센 -25.4% 하회)을 기록
ㅡ 주요 부문별 영업이익은 DS부문 0.4조원 (-64% QoQ, -94%YoY), DX부문 3.3조원 (-30% QoQ, +22% YoY), SDC 0.5조원 (flat QoQ, -50% YoY) 기록
ㅡ (DS) 매출 성장 시현했으나 메모리 사업의 재고자산평가 충당 및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 따른 일회성 비용 반영
ㅡ (DX) 1분기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후 판매량 감소로 전분기대비 영업이익 감소
ㅡ 2분기 DRAM B/G +11% QoQ 상승, 범용 DRAM ASP +3% QoQ 상승
ㅡ 2분기 NAND B/G +28% QoQ 상승, NAND ASP ?4% QoQ 하락
■2025년 하반기 부문별 시장 전망 및 사업 계획
ㅡ IT 시황의 점차적인 개선세 예상되며 2분기를 저점으로 상저하고의 실적 개선세 전망
ㅡ (메모리) 전 응용처에 걸친 수요 모멘텀 지속 전망.
특히 AI 서버향 수요의 가속화가 예상되며 AI 응용처 데이터 전처리를 위한 General Computing 수요도 지속 강세 전망.
이에 하반기 DRAM 가격 상승폭 확대 및 NAND의 전반적인 가격 반등 기대
ㅡ (S.LSI / 파운드리) 미중 기술 경쟁 심화 및 반도체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불구 AI 및 HPC 수요 중심의 고성장세 지속 예상
ㅡ (DX) 관세 상승 우려 및 경기 둔화로 스마트폰 시장 전년비 소폭 역성장 전망되나 프리미엄 세그먼트의 경우 글로벌 소비 패턴의 프리미엄화로 전년비 소폭 성장 전망
ㅡ (SDC)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따른 판매 증가 기대되나 관세 등 시장 불확실성 상존
■2025년 3분기 가이던스 및 경영진 코멘트: 범용 D램 및 HBM 마진 축소될 것
ㅡ 3분기 DRAM B/G +8% QoQ 상승, NAND B/G +5% QoQ 상승 전망
ㅡ (관세)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 감소 판단.
8월 중순 반도체 및 반도체 파생상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 예의주시.
반도체 및 완제품 모두 영향권에 있을 전망
ㅡ (파운드리) 테슬라로부터 $165억 규모의 선단 공정 적용 제품을 수주.
테일러 팹은 26년부터 본격 가동 예정이며 25년 대비 Capex 규모를 증가시킬 계획
ㅡ (HBM) 2분기 HBM 판매량 +30% QoQ 증가.
하반기 HBM3E 차지 비중은 90% 후반까지 확대될 것.
하이브리드 본딩은 고객사와 양산 고려한 기술 협의 진행 중
ㅡ (S.LSI) 엑시노스 2500은 폴더블 모델 신규 진입 성공했으며 신규 모델 추가 진입 추진.
엑시노스 2600은 GAA 공정 적용 예정이며 26년 플래그십 모델 탑재 계획
ㅡ (M&A) AI / 공조 / 헬스케어 / 로봇 / 전장 등 신성장 분야 M&A 추가 검토 예정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