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ESG Brief 주가전망

산업재해가 자본비용과 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25.08.11
읽는시간 1분

퀵하게 보기

  • 포스코이앤씨 이후 주목 받는 기업의 중대 재해 리스크
  • 산업안전 지배구조 혁신과 1조원대 산업안전 기술 시장의 부상
■ 포스코이앤씨 이후 주목 받는 기업의 중대 재해 리스크

포스코이앤씨의 연쇄 사망사고를 계기로 한국 기업의 중대 산업재해 리스크가 자본시장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현재 한국의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589명, 인구 10만명당 사망률 4.2명으로 OECD 평균 (1.5명)의 약 3배에 달한다.
포스코이앤씨 사고에 대한 대통령의 직접 개입과 건설업 면허 취소 위협이 현실화되면서, 중대재해는 개별 기업의 운영 리스크를 넘어 산업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2024년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5인 이상 전 사업장으로 확대 적용되고 CEO 구속 사례까지 발생하면서, 산업안전은 기업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급부상했다.

투자자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변화는 안전사고가 자본비용 상승으로 직결되는 메커니즘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GS건설은 2023년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이후 시가총액이 급락했을 뿐만 아니라, 신용평가사들이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하향 조정하면서 자기자본비용과 타인자본비용이 동시에 상승했다.
HDC현대산업개발 역시 2021년 광주 화정아파트 붕괴사고 후 동일한 신용등급 하락과 주가 급락으로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이 크게 상승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중대재해가 일회성 비용을 넘어 기업의 장기적 자금조달 능력과 밸류에이션에 구조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작게

보통

크게

0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