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2분기 실적시즌이 마무리를 향해가는데, 갈수록 쇼크에 대한 주가 하락폭이 크고, 서프라이즈에도 하락하는 '셀온현상'도 심해지고 있음
- 이는 호재를 호재로 인식하지 않고 악재는 더 크게 반영하는 '기회만 생기면 팔고싶던 심리가 우위'인 상황
- 다만 상승장에서 이런 심리는 오래 지속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상최대 실적임에도 고점대비 낙폭이 큰 종목에 주목
이번 2분기 실적시즌은 마무리를 향해갈수록 어닝쇼크에 대한 주가의 하락폭이 커지고, 어닝서프라이즈에도 주가가 하락하는 ‘셀온현상’이 심해지고 있음 (아래 [표1] 실적발표에 대한 주가반응 참고)
호재를 호재로써 인식하지 않고, 악재는 더 크게 반영하는 ‘기회만 생기면 팔고 싶던 심리가 우위’인 상황
상승추세에서 이런 심리는 장기간 지속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상최대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연고점대비 하락폭이 큰 종목에 대해 매수 기회로 접근할 수 있다고 판단
[표2]에 매출과 이익이 모두 2010년 이후 최대인 종목을, [표3]에 영업이익만 최대, [표4]에 매출이 사상최대인 기업을 고점대비 하락폭과 함께 정리하여 제시.
정렬 순서는 고점대비 하락폭이 큰 순서로 제시
업종분포를 살펴보면 화장품, 소프트웨어, 건강관리 및 산업재 일부가 다수를 이루고 있음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