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변동성이 커진 신소비 테마, 괜찮은걸까?
- 아트토이: POP MART, 수요 감소가 아닌 공급 확대
- 밀크티: 경쟁 심화 속에서 승자는 누구인가?
- 화장품: 마오거핑화장품, 가장 높은 수익성 확보. 연간 실적에서 신사업 향수 매출 확인 필요
■ 변동성이 커진 신소비 테마, 괜찮은걸까?
신소비 테마 기업들의 주가는 2025년 상반기 실적 발표 시기에 고점을 기록한 이후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주가 하락 이유는 기술주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소비 테마가 상대적으로 소외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신소비 기업 밸류에이션은 역사적 고점 수준이었기 때문에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자 자금이 빠르게 이탈했다.
그럼에도 현재 주가 조정은 밸류에이션 부담 해소와 함께 중장기 매수 기회라 판단한다.
특히 (1) 해외 시장 진출한 기업과 (2) R&D 및 공급망에 적극 투자하는 기업은 중국 내수 둔화를 해외 성장으로 상쇄하고 있어 연간 실적 발표 시 주가 반등 가능성이 있다.
다만 중국 내수 소비가 예상보다 더디게 회복될 경우 주가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
■ 아트토이: POP MART, 수요 감소가 아닌 공급 확대
신소비의 대표 기업인 POP MART는 주가가 8월 고점 대비 약 -31% 하락했다.
시장이 우려하는 요인은 (1) 하반기부터 공급 물량이 늘어나면서 리셀 프리미엄이 축소되자 실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점과 (2) 주력 IP의 인기가 일시적일 거라는 점이다.
그러나 10월 22일 발표된 3분기 잠정 실적은 이러한 우려를 완화시켰다.
전체 매출은 전년대비 245~250% 증가했으며, 중국은 185~190%, 해외는 365~370% 증가하는 등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다.
핵심은 리셀 가격 하락이 수요 감소가 아니라 공급 확대의 결과라는 점이다.
특히 독일 등 유럽 주요 도시에 신규 매장을 오픈하고 있으며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1,265~1,270% 급증했다.
또한 라부부 외에도 신규 IP를 육성 중이어서 캐릭터 의존도도 점차 낮아질 전망이다.
리셀 시장 정상화는 단기 조정 요인이지만, 중장기적으로 건강한 사업 모델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해외 시장 성장과 IP 다각화가 지속되는 한 성장성은 유지될 것으로 판단한다.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