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다 먼저 국채 10년물 금리가 0%대에 진입한 국가들의 고령화율과 한국의 인구추계를 이용해 추정해보면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향후 4년 내에 0%대에 진입이 예상된다. 금리는 장기적으로 잠재성장률에 동행하는데,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10년대의 2%대 후반에서 2020년대에는 2% 내외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인은 자본과 노동의 성장기여도 하락이며 한국의 고령화율은 그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제로금리는 이론적으로 가계의 자금을 저축에서 투자로 이동시키지만, 일본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현금 및 안전자산의 수요를 더 확대시킨다. 부동산 시장은 임대와 월세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기업과 산업, 자산운용 측면에서도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은행의 수익성과 보험, 연기금의 운용 총수익률도 낮아질 전망이다. 해외투자 확대는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