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Ⅰ. 잃어버린 미래의 도래와 자본시장 위기 한국은행은 2040년대 한국 GDP 성장률을 0% 내외로 전망한다. 즉, 대략 20~30년 뒤에는 성장이 거의 없어지면서 한국의 ‘잃어버린 미래’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잃어버린 미래’는 어떤 이유 때문일까? 경제적인 관점과 자본시장의 관점으로 나눠서 볼 수 있겠다. 1) 경제적 관점에서는 ① 수출의 구조적 성장 시대가 끝났다는 것과 ② 내수 부진의 심화 및 장기화이며, 2) 자본시장의 관점에서는 ③ 기업지배구조의 문제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한국 주식시장은 ‘구조적 성장주 → 주주환원 없는 가치주’로 전환하고 있다.
■ Part Ⅱ. 미국과 일본의 ‘잃어버린 과거’ 투자자의 관점에서, 그리고 정책의 관점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교훈을 얻기 위해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참고했다. 1970년대의 미국 경제/증시 부진과 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응전략은 20년이 흘러 일본에 교훈을 줬고, 1990년대의 일본 경제/증시 부진과 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응전략은 또다시 30년이 흘러 한국에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어떻게 장기 부진의 위기를 극복했는지 살펴보면서, 한국 자본시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