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전지 부진의 배경: 트럼프 당선에 따른 IRA 폐지 우려, 캐즘 구간에서의 침투율 정체 등 2023년 하반기부터 2차전지의 부진이 2년간 지속됐다. 이유는 여러 가지일 것인데, ① 과도하게 높았던 밸류에이션의 조정 과정, ② 광물가격의 하락세 지속, ③ 트럼프 당선에 따른 IRA 폐지 우려 (전기차 보조금 축소), ④ 캐즘 구간에서의 전기차 침투율 정체 등이 되겠다.
하지만, 극단적 소외주로서의 2차전지에 대한 관심을 재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탑다운 관점에서의 생각은 2가지다. ① IRA 폐지에 대한 우려 반영 완료 단계, ② 캐즘 구간을 돌파하게 만들 모멘텀의 등장 가능성 (저가모델 출시) 등이다.
■ 현시점 2차전지를 고민하는 이유: 저가 차량의 출시 시점 도래와 세컨카로서의 가능성 자동차 산업의 역사를 돌아보면, 침투율이 유의미하게 상승했던 시기는 3번이 있다.
① 1910년대 Ford 시대: 헨리 포드는 생산 공정의 개선 (컨베이어 벨트 도입)을 통해 자동차 생산 비용을 대폭 절감했고, 이를 통해 자동차 가격을 인하함으로써 자동차 대중화 시대를 열었다.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추구하다 보니 자동차의 모양이 유사한 특징이 있는데, 이는 지금의 테슬라와 매우 유사한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