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reverse engineering
완제품을 분해해 관련 기술을 파악한 후 자유롭게 분해와 조립을 하는 기법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네덜란드 헤이그의 평화궁에 위치한 국제분쟁 중재기구이다. 1899년 설립된 뒤 한국을 비롯한 121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개별 중재재판소의 패널은 1명 또는 3명, 5명으로 구성되며, 당사자는 판결을 지체없이 지체 없이 이행해야 한다. 국가 간 분쟁에서는 일단 판결이 내려지면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 판결의 이행을 강제할 수단은 없지만 판결을 무시하거나 이행하지 않는 국가는 국제적으로 신뢰를 잃을 수 있다.
inversion strategy
해외의 경쟁 기업을 인수한 뒤 본사를 법인세율이 낮은 아일랜드 등 유럽으로 옮기는 행위. 실제 본사는 옮기지 않고 주소만 인수한 외국 기업의 것으로 바꾸는 것으로 조세회피를 원하는 기업과 막대한 수료 수익을 챙기는 미국투자은행들의 이해가 맞아 떨어지면서 2011년 이후 급증하는 추세이다.
Ebola virus
치사율이 90%에 달해 ‘죽음의 바이러스’로 불린다. 환자의 혈액과 침·땀·정액 등 체액, 피부 조직 등을 통해 감염된다. 2일에서 3주까지 잠복기를 가지는데 증상이 나타나면 수일 내에 사망한다. 초기에는 고열과 메스꺼움 등의 증상을 보여 다른 질병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후 고열, 근육통, 구토, 설사와 함께 장기 기능이 멈추고 출혈이 계속돼 목숨을 잃게 된다.
촌스럽다는 뜻의 중국어 ‘투(土)’와 부자를 뜻하는 ‘하오(豪)’가 합쳐진 말로 ‘교양과 지식은 없는 벼락부자’를 뜻한다. 우리말로 바꾸면 ‘졸부’에 해당하는 말이다. ‘충얼다이(窮二代)’와 ‘중찬제지(中慘階級)’ 등은 서민층이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면서 만들어낸 말이다. ‘충얼다이’는 가난하다는 뜻의 ‘충(窮)’과 2세를 뜻하는 ‘얼다이(二代)’가 합쳐진 것으로 ‘서민의 자식’을 의미한다. 부자 부모를 둔 ‘푸얼다이(富二代)’를 살짝 변형한 것이다. 중국 사회에서도 부의 세습과 가난의 대물림이 사회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찬제지’는 원래 중산층을 뜻하는 중산계급(中産階級)의 두 번째 글자 ‘産’을 같은 발음의 ‘慘(비참할 참)’으로 대체해 만들어냈다. 요즘 중국 중산층의 삶이 그만큼 팍팍하고 힘겹다는 것을 의미한다.
C-km
송전선로의 회선(전깃줄)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송전선로의 회선 개수는 1개, 2개, 4개 등 다양한데 송전선로의 길이에 회선 개수를 곱하면 실제 회선 길이가 나온다.
Generation Z
밀레니엄(Y2000) 세대(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뒤잇는 세대. 세대를 가르는 정확한 기준은 없다. 인구통계학자들은 일반적으로 199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까지 출생한 세대를 Z세대로 분류하지만 언제까지를 Z세대의 끝으로 간주할 지에 대해서도 통일된 의견이 없다. Z세대를 규정하는 가장 큰 특징은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 2000년 초반 정보기술(IT) 붐과 함께 유년 시절부터 인터넷 등의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세대답게 신기술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이를 소비활동에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단적인 예로 옷이나 신발 책 음반은 물론 게임기 등 전자기기의 온라인 구매 비중이 모두 50%를 넘는다.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 신중하게 구매하는 경향도 강하다. 온라인 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X, Y세대가 이상주의적인 반면 Z세대는 개인적이고 독립적이며, 경제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등 이전 세대와 다른 소비패턴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2020년 12월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의 경제력은 모든 세대를 통틀어 가장 빠르게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후 이들의 경제력은 지금보다 5배 늘어난 33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31년엔 세계 개인소득의 25%를 차지하면서 밀레니얼세대(1981~1996년생)마저 제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세계 Z세대의 90%는 신흥시장에 거주하고 있다. 이 중 25%는 인도인이다. 필리핀 멕시코 태국 등에도 Z세대가 많기 때문에 시장 잠재력이 크다고 BoA는 분석했다.
normcore
노말(normal)’과 ‘하드코어(hardcore)’의 합성어로 평범함을 추구하는 패션.
intermission
연극, 영화, 공연 중간에 갖는 휴식시간. 보통 러닝타임이 2시간 반에서 3시간이 넘는 뮤지컬은 1부가 끝나고 15~20분 정도의 인터미션을 갖는다.
국제적인 이중과세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 모기업이 해외 자회사로부터 배당을 받은 경우 자회사가 외국에서 납부한 법인세를 감안해 모회사의 법인세에서 공제해주는 제도.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