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유니콘

unicorn

유니콘은 원래 머리에 뿔이 하나 달린 신화 속의 동물을 일컫는데 경제분야에서는 기업가치가 10억 달러(약1조2000억원) 이상인 비상장 신생기업(start-up)을 말한다.

2013년 미국의 벤처 캐피탈사인 카우보이 벤처 (Cowboy Ventures)스의 설립자이자 대표인 에일린 리(Aileen Lee)가 2003년 이후 창업한 스타트업을 조사해 기업가치가 10억달러를 넘는 회사 39곳을 ‘유니콘클럽’으로 분류하는 글을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기고한 데서 비롯했다.

2013년 리 대표는 “2003년 이후 창업한 스타트업 중 기업가치 10억달러를 넘은 기업이 에어비앤비, 드롭박스, 페이스북, 링크트인, 트위터, 우버, 유튜브 등 39개가 있다”고 소개했다. 이 중 몸값이 가장 높았던 트위터는 100억달러 정도로 평가받았다. 2015년 경제지 포천이 ‘유니콘의 시대’라는 제목의 기사를 올릴 당시 유니콘 수는 80개였다.

유니콘이 급증하기 시작한 것은 2020년대 들어서부터다.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트 집계에 따르면 2020년 말 569개였던 유니콘 수는 이달 초 1000개를 돌파했다. 현재 ‘몸값 1등 유니콘’은 틱톡을 운영하는 중국 바이트댄스로, 기업가치를 1400억달러(약 168조원)로 평가받고 있다.

원래 유니콘은 신화 속 동물처럼 현실에서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붙은 이름인데, 올 들어선 하루 한 개꼴로 탄생하고 있다. 지난 1월에만 42개 스타트업이 유니콘 대열에 합류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저금리에 힘입어 시중에 벤처투자 자금이 풍부해졌고, 언택트(비대면) 흐름에 올라타 폭발적 성장을 달성한 스타트업이 많아진 영향이다.

한국에서는 10여 개 기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무신사, 마켓컬리, 당근마켓, 토스, 야놀자, 티몬, 직방 등 소비자에게 친숙한 이름이 여럿 포함돼 있다.


더 크면 데카콘, 또 더 크면 헥토콘


이후 유니콘 기업들이 속속 등장하고 유니콘보다 훨씬 높은 가치를 지닌 기업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제통신사 불룸버그는 유니콘보다 10배이상의 가치를 지닌 기업을 데카콘(decacorn)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유니콘의 유니(Uni)가 숫자 1을 뜻하는데 착안하여 숫자 10을 뜻하는 접두어 데카(Deca)에 유니콘의 콘(corn)을 결합한 것이다.

또한 숫자 100을 의미하는 hecto와 corn을 결합시켜 1000억달러의 가치를 지닌 신생 벤처 기업을 헥토콘(hectocorn)이라 부른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블루스카이 연구

blue sky research

블루스카이 연구는 분명한 목적이 없는 연구 또는 순수한 호기심과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기초연구를 말한다.연구 결과를 실제 세계에 어떻게 적용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기초과학 영역의 연구를 말한다. 목적을 둔 연구만 강조하면 과학의 우연한 발전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성찰에서 나왔다.

백열등과 형광등을 대체할 LED(발광다이오드)산업을 일으킨 나카무라 슈지 UC샌타바버라 교수의 청색LED 연구도 처음에는 호기심과 불가능에 대한 도전에서 시작했다. 나카무라 교수는 청색LED를 개발한 공로로 2014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정보기술(IT)산업을 일으킨 하드디스크 저장장치를 비롯해 그래핀, 줄기세포 기술도 과학자의 사소한 호기심에서 출발했다. 영국왕립학회는 아이디어는 독창적이지만 연구비를 받기 힘든 연구를 위해 테오머피블루스카이상을 제정해 매년 과학자를 지원하고 있다. ‘투명망토’ 기술로 불리는 메타물질을 개발해 관심을 모은 울프 레온하트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교수도 2009년 이 상을 받았다.

국내에서도 IBS를 중심으로 노벨상 수상자에 버금가는 창의적 연구가 속속 나오고 있다. 김상규 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연구위원은 대표적인 블루스카이 연구자로 꼽힌다. 그는 유전자 교정기술인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양배추와 토마토, 콩, 유채 등 식물의 돌연변이를 연구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가 사람과 동물에 주목하는 사이 김 연구위원은 국내에서 자라는 자생식물에 주목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RGB와 RGBW

디스플레이 패널은 수많은 화소로 이뤄진다. RGB 방식은 각각의 화소가 적색(R), 녹색(G), 청색(B) 등 3개의 부분 화소로 배치된다. 반면 RGBW 방식은 기존 RGB화소에 백색(W) 부분 화소를 추가하여 화소의 배열을 기존 RGB방식과 달리 ‘RGB-WRG-BWR…’ 식으로 조합하고 보상 기술을 통해 기존 대비 밝기(휘도, brightness)는 높이면서도 소비전력은 낮출 수 있다.

2015년도 삼성·LG 두 그룹의 전자 계열사가 참여해 RGBW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에 대해 치열한 공방전을 펼쳤다. 이 공방전은 LG디스플레이가 ‘M플러스’라는 저가형 4K(기존 HD보다 화소수가 4배 많다는 뜻) 패널을 개발하며 시작됐다. 이 패널은 전통적 RGB 방식이 아니라 RGBW 방식으로 제조됐다.

고해상도 4K 패널을 만들려면 백라이트용 발광다이오드(LED)를 더 배치하는 등 추가 부품이 필요하다. 하지만 LG디스플레이는 LED를 더 넣기보다 각 화소에 있는 적색(R), 녹색(G), 청색(B) 등 3개의 부분 화소 중 하나를 빼고 밝은 백색(W) 부분 화소를 넣었다. 기존 화질방식인 RGB(레드 그린 블루)에다 화이트(W)를 추가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고 소비전력도 낮춘 것이다.

LG전자뿐 아니라 중국 TV 회사들이 이 패널을 써 중저가 UHD TV를 제조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화이트 픽셀이 별도의 색상을 구현하지 못해 4K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제디스플레이 계측위원회(ICDM)는 2016년 5월 24일 RGBW 방식의 4K 초고화질(UHD) 패널을 4K로 인정하되, 해상도를 표기할 때 ‘명암변조비(contrast modulation)’ 값을 명시하도록 결정했다. 이 결정은 “LG디스플레이가 생산하는 RGBW 방식의 패널은 4K 패널이 아니다”는 삼성 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 대신 LG디스플레이 패널의 선명도가 떨어진다는 점은 인정했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