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코호트

cohort

오늘날의 소대나 중대처럼 고대 로마 군대의 세부 조직 단위를 일컫는 단어다. 이들은 함께 훈련하며 생활하고 전쟁하는 과정에서 높은 내부적 동질성을 갖는다.

사회학에서는 같은 시기를 살아가면서 특정한 사건을 함께 겪은 사람들의 집합을 코호트라 부른다. 하나의 코호트는 같은 시대의 역사적 사건들을 함께 겪고 공동의 문화를 향유하면서 비슷한 가치체계와 태도, 믿음을 공유하게 되므로, 소비자로서의 동질성 역시 높다고 봐 시장세분화 단위로 활용한다.

마케팅에서 종종 사용하는 시장세분화 방법 중 하나가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이다. 마케팅에서 코호트는 특정한 경험을 공유하는 소비자 세대를 말한다.
조지 매스닉 미국 하버드대 연구원 분류에 따르면 2차 세계대전 종전 후인 1945~1964년 태어난 소비자 그룹을 베이비부머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TV로 디즈니의 미키마우스와 도널드덕을 보며 자라난 세대로, 미국과 옛 소련의 냉전, 베트남 전쟁, 비틀스, 달 착륙 등의 경험을 공유한다. ‘X세대(Gen X)’는 1965~1984년 태어난 사람들로, 교육수준이 높고 개인의 자유, 인권, 관용 등의 가치를 중시하며 공산주의 붕괴, 동서독 통일 등의 경험을 공유한다. 1985~2004년 태어난 그룹은 ‘Y세대(Gen Y)’라고 하는데, 이들은 인터넷과 모바일,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연결성과 사회 참여의식이 매우 높은 세대로 ‘밀레니얼(millennials) 세대’ ‘위제너레이션(WE generation 또는 Gen WE)’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 의학분야에서 코호트는 특정 질병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의심되는 특정 인구 집단을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코호트 격리는 감염 질환 등을 막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감염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을 통째로 봉쇄하는 조치를 말한다. 질병 발병환자 뿐만아니라 의료진 모두를 동일집단(코호트)으로 묶어 전원 격리해 확산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도로 공원 녹지 등 공공시설 건설을 위해 고시한 도시계획시설 중 10년 이상 사업을 벌이지 못한 시설.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되면 해당 토지 소유자는 보상을 받지 못하고 원래 허용된 용도대로 토지를 이용할 수 없다.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2020년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일몰제’ 시행을 앞두고 비상이 걸렸다. 도로 공원 등 도시개발을 위해 행정적으로 묶어놓은 사유지 개발 제한이 이때부터 잇따라 해제되기 때문이다. 지자체가 사전에 계획한 사업을 하려면 보상해주거나 토지를 매입해야 한다. 보상에만 수십조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돼 지자체들이 엄두를 못 내고 있다.

2016년 5월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도시계획시설로 결정된 이후 10년 이상 지난 장기 미집행 시설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서울 여의도 면적(2.9㎢)의 321배인 931㎢에 달한다. 지자체가 의욕적으로 도시계획을 세웠지만 열악한 재정 형편 탓에 예정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면서 사업예정지는 계속 늘고 있다
.
문제는 2020년부터 도시계획시설 결정 후 10년이 지난 장기 미집행 시설은 효력이 자동 상실되는 일몰제가 시행된다는 것이다. 정부는 개인 재산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12년 이런 내용으로 국토계획법을 고쳤다. 각 지자체가 예정된 사업을 계속 추진하기 위해서는 토지 소유자에게서 해당 부지를 사들이거나 보상을 해줘야 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위제너레이션

WE generation

10~20대에 해당하는 가장 젊은 소비자 그룹. 이들은 어려서부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사용하고, 음악을 다운로드해서 듣고, 스마트폰으로 문자를 보내고,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자라온 세대다.

이들은 대량생산된 제품보다는 고가의 수제 맥주, 고급 커피, 유기농 식품 등 개인의 독특하고 섬세한 취향을 반영하는 제품에 관심을 보인다. 위제너레이션을 다룬 책 《제너레이션 위(Generation WE)》의 저자인 그린버그와 웨버(2008)는 이들이 서로 연결돼 있고, 다양한 정치·사회·경제적 변화를 갈망하는 세대라고 말한다.이들의 특징은 어느 세대보다 경쟁심이 강하고 비즈니스 마인드가 높으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이슈에 관심이 많고 협력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아랍의 봄’이나 미국 대선에서의 샌더스 열풍에서 볼 수 있듯이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사회 변화에 대한 열망을 공유하는 가운데 실제적 변화를 주도한다. 자신의 의견을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글로벌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글로벌 관점에서 위제너레이션은 중국과 인도에만 4억명, 미국에 4000만명, 한국과 일본에 2000만명,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국에 3500만명 등의 청년 세대를 포함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차비스모

Chavism

차비스모는 `차베스주의(Chavism)’의 스페인어 표기로 베네수엘라 우고 차베스 (Hugo Chavez) 전 대통령이 취한 대중영합적 좌파 이념을 말한다.현 베네수엘라 대통령인 니콜라스 마두로(Nicolas Maduro)도 차베스의 뒤를 이어 이노선을 따르고 있다.

차비스모는 에너지기업을 국유화하고 원유를 수출한데서 얻은 수익을 복지정책에 사용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국제 유가 상승기에 집권한 차베스 전 대통령은 1999년 대통령 취임 후 2013년 암으로 사망할 때까지 석유로 벌어들인 재원을 16년간 빈민층에게 무상교육·의료와 저가 주택을 제공하는 등 사회보장성 지출에 집중했다. 베네수엘라의 빈곤율은 1998년 49%에서 차베스의 무상복지로 2012년에 최저치인 25%를 기록했다.

차비스모 경제 정책의 대표적 사례는 가격 통제다. 베네수엘라에서는 음식, 의약품, 차량 배터리, 향수, 심지어 화장지까지도 가격을 통제한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가격 통제 정책의 목적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빈곤층이 생필품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해왔다.

하지만 원유를 팔아 무상복지에 치중하던 베네수엘라는 배럴당 100달러가 넘던 국제 유가가 2014년부터 급락하면서 베네수엘라는 직격탄을 맞았다. 베네수엘라는 외환수입의 95%, 국가재정의 50%를 석유 수출에 의존해왔기 때문이다. 차비스모의 본모습이 드러났다.

우선 베네수엘라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에너지컨설팅사 리스타드에너지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재정은 사회보장성 지출이 더해지면서 국제 유가가 배럴당 120달러는 돼야 균형을 이룰 수 있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40달러대에 머무르면서 디폴트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2016~2018년 만기가 도래하는 국채 원리금 상환액은 총 270억달러에 이르지만 외환보유액은 30억달러에 불과하다.

인플레이션도 살인적이다. 베네수엘라 정부가 자국 화폐인 볼리바르화를 찍어내 채무를 갚기 시작하면서 화폐가치가 급락,물가가 치솟기 시작했다. 베네수엘라 정부에서 발표하는 공식 환율은 달러당 9.9875볼리바르다(2016년 5월말경).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은 실제 통용되는 암시장의 볼리바르달러 환율이 1110볼리바르에서 2016년 말에는 6699볼리바르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2016 베네수엘라의 물가상승률을 720%로, 2017년엔 2200%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소비재의 70%를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식량은 물론 전기, 수도, 보건 서비스 공급마저 어려워졌다. 베네수엘라 경제성장률은 2015년 -5.7%를 기록한 데 이어 2016년에도 -8%가 예상된다. 빈곤율도 73%까지 치솟았다. 2016년 2월 마두로 정부가 경제위기 타개 방안을 발표했지만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제조업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변동환율제, 석유산업 민영화 등 근본적인 조치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