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달러/원 환율 급락, 1,360원대 진입 (2024년 10월 이후 7개월 만에 최저치)
* 환율 급락 원인: 미중 무역협상 타결, 대만 달러 강세 동조, 미국과의 환율 협상 소식, 달러 자산 신뢰 약화 등 - 극심한 환율 변동성, 단기 예측의 불확실성 높이는 요인 – 5월 일간 변동 폭 약 20원 수준 (일중 고점–저점 기준)
* 대외 여건의 급격한 변화, 환율 급변에 따른 기술적 포지션 청산 (손절성 매도)이 단기 변동성 증폭 요인
작게
보통
크게
5월 달러/원 환율 급락 – 원화 저평가 완화 국면, 하지만 극심한 변동성
5월 달러/원 환율 추이,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치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달러/원 환율 변동성, 2020년대 들어 최대 수준
자료: 한국은행,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미중 무역협정 타결 - ‘위안화 평가절하’ 리스크 해소, 원화에 긍정적
미중 무역협상 타결에 중국 위안화 가치 안정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중국 위안화 및 한국 원화 환율의 동조성 (상관계수 0.79)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변수로 떠오른 대만 달러 – 대만 생보사의 ‘환 헷지 (Hedge)’ 전략 주목
대만 달러 및 한국 원화 환율의 동조성 (상관계수 0.85)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대만 생명보험사의 외화자산 규모는 역대 최대치 (7,060억 USD)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미국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재정 불안 – 달러 자산의 신뢰도 하락
미국의 주요 부문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추이, 역대 최고치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미국 장기 국채금리와 달러의 상반된 흐름, 달러 신뢰 약화 시사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여전히 남아있는 관세 – 미국 경제에 부정적, 달러에 약세 압력
미국-중국의 상대국 평균 관세율 추이 (PIIE)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의 변화 (Bloomberg Consensus)
자료: Bloomberg Consensus,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연준 금리 경로 불확실성 – 여전히 높은 미국 금리는 달러 가치 지지 요인
미국 소비자 심리 악화와 기대 인플레이션의 급등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미국 및 주요국의 정책금리차, 달러 가치 지지 요인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추정 / 주: 비미국 정책금리는 유로, 일본, 영국 정책금리의 가중 평균치
미국과의 환율 협상 – 실체는 없어도, 시장 심리에 상당한 영향
미 달러화의 장기 사이클과 주요 사건 (1970~2025년)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글로벌 외환시장 규모, 1980년 대비 최소 15배 이상 증가
자료: BIS,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6월 환율 전망 – 단기 변동성에도 방향은 아래쪽, 1,300원대 무사 안착 전망
미 달러화 지수 및 달러/원 환율의 분포 (최근 3년)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추정
달러/원 중장기 전망치, 2025년 말 1,300원대 초반까지 하락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전망 (2025.5.27)
주요국 환율 전망 Table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전망 (2025.5.29)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