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린이는 예전부터 에어팟이 갖고 싶었어요. 처음으로 투자한 주식이 많이 올라, 매도*하고 이 돈으로 에어팟을 사려 했는데요. 매도 직후 투자금이 계좌에 들어오지 않아 당황했어요. 아린이 계좌에 오류가 난 걸까요? 아니에요. 매도 금액이 ‘예수금’으로 들어오려면 시간이 걸려요. 예수금 뜻과 국내, 해외 주식 출금 가능 시점을 알아볼게요.
읽는시간 4분
아린이는 예전부터 에어팟이 갖고 싶었어요. 처음으로 투자한 주식이 많이 올라, 매도*하고 이 돈으로 에어팟을 사려 했는데요. 매도 직후 투자금이 계좌에 들어오지 않아 당황했어요. 아린이 계좌에 오류가 난 걸까요? 아니에요. 매도 금액이 ‘예수금’으로 들어오려면 시간이 걸려요. 예수금 뜻과 국내, 해외 주식 출금 가능 시점을 알아볼게요.
*매도란 주식을 파는 걸 말해요. 반대로 매수란 주식을 사는 걸 말하고요.
주식 예수금 뜻, 주식 예수금 출금
예수금이란?
예수금이란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사 계좌에 넣어둔 돈을 말해요. 보통 물건을 사고팔면 그 자리에서 돈을 주고받지만, 주식은 달라요. 주식을 판 돈이 내 계좌로 입금되기까지 2일이 더 필요하죠.
주식 매도금은 영업일 기준 이틀 후(D+2)에 입금돼요. 출금도 이때부터 할 수 있고요. 영업일은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회사나 금융 기관이 정상적으로 영업하는 날을 말하는데요.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요.
거래일 | 출금 가능일(D+2) |
월요일 | 수요일 |
금요일 | 다음 주 화요일 |
D+2는 영업일 기준 거래일로부터 이틀 후를 뜻하는데요. 증권사에 따라서는 "T+2"라고도 써요. 여기서 T는 Transaction 또는 Trade의 약자로, D와 T 둘 다 거래일을 뜻해요.
주식 거래 결제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는 데 시간이 조금 걸리기 때문이에요. 주식을 사고팔면 한국예탁결제원에서 거래 내용을 확인하고,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결제*를 처리해요. 이 과정이 이틀 걸리고요.
*결제: 거래에 따라 주식 매도자는 매수자에게 주식을, 매수자는 매도자에게 현금을 지급해 법적인 의무가 완료되는 절차를 말해요.
주식 앱을 보면 예수금과 함께 D+1, D+2가 보일 거예요. 이는 거래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1일 뒤, 2일 뒤의 예수금을 뜻해요. 증권사 계좌에 30만원이 있는데, 오늘 A회사 주식을 60만원어치 팔았다면 D+2의 예수금은 다음과 같아요.
거래일 | D+1 | D+2 | |
예수금* | 30만원 | 30만원 | 90만원 |
*실제 예수금은 세금과 수수료가 빠지기 때문에 이보다 적을 수 있어요.
매도 금액이 내 계좌로 입금되기 전이지만, 이 돈으로 다른 종목 주식을 사는 건 가능해요. 이처럼 출금은 안 되지만 주식을 주문할 수 있는 금액을 주문가능금액이라고 하고요. 위 예시의 주문가능금액*은 다음과 같아요.
거래일 | D+1 | D+2 | |
예수금 | 30만원 | 30만원 | 90만원 |
주문가능금액 | 90만원 |
90만원 | 90만원 |
*실제 금액은 세금과 수수료가 빠지기 때문에 이보다 적을 수 있어요.
주식 매수도 매도와 마찬가지로 “D+2”가 적용돼요. 매수 체결이 됐다고 해서 내 계좌에 주식이 바로 입고되지 않아요. 예를 들어 볼게요. 증권사 계좌에 100만원이 있는데, 월요일에 A회사 주식을 80만원어치 샀어요. 그러면 주문가능금액과 출금가능금액은 바로 20만원이 돼요. 하지만 실제 계좌에서 80만원이 빠져나가는 건 수요일이에요. 주식이 입고되는 것도 수요일이고요.
*실제 출금가능금액은 D+2 예수금에서 세금과 수수료가 제외돼요.
해외 주식 출금, 외화 예수금 출금
해외 주식 매도하면 언제 출금할 수 있나요?
해외 주식도 국내 주식과 비슷해요. 매도 후 출금하기까지 하루이틀 더 걸리는데, 구체적인 기간은 나라마다 달라요. 시차가 있으면 하루 더 걸리기도 하고요.
해외 주식 국가별 결제일, 매도 금액 출금일
국가 | 현지 결제일 | 매도 금액 출금일 |
미국 | D+1 | D+2 |
중국A | D+1 | D+1 |
홍콩 | D+2 | D+2 |
일본 | D+2 | D+2 |
(출처: KB증권, 기준: 2025.01.14.)
미국, 홍콩, 일본은 당일 매수, 매도가능(Day Trading), 중국의 경우 제도상의 이유로 매수결제 후 매도가 가능합니다(단, 중국종목 매도 자금으로 바로 매수는 가능하며 오프라인 국가는 현재 재매매 불가합니다.)
미국 주식은 2024년 5월 말부터 현지 결제일이 D+2일에서 D+1일로 하루 단축됐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와의 시차 때문에 출금 가능일은 하루 더 늦고요. 예를 들어 월요일에 엔비디아를 매도했다면, 수요일에 매도 자금을 출금할 수 있어요.
해외 주식은 매도하면 원화가 아닌 외화로 입금되기 때문에 원화로 환전해야 돼요. 이때 환전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어요.
주식은 매도해도 바로 출금할 수 없기 때문에 출금 가능 시기를 잘 계산해야 돼요. 급하게 돈을 쓸 일이 있다면 출금 가능일이 언제인지 확인하고, 계획에 차질 없도록 주식을 매도하세요.
3줄 요약
이 콘텐츠는 금융감독원 e-금융교육센터 자료를 참고해 만들었습니다.
이 콘텐츠는 2025년 1월 16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오직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로 경제와 투자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 및 배포되었습니다. 수록된 내용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참고한 것이나, KB국민은행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라도 고객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를 묻는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콘텐츠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복제, 배포, 전송, 대여가 금지됩니다.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