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금이란? 주식 매도 후 언제 출금할 수 있나요? 해외 주식 출금은?

틴즈 머니 마스터 9화: 주식 기초 용어 #5
시리즈 총 11화
2025.01.16

읽는시간 4

0

10대의 현명한 금융 생활, 틴즈 머니 마스터 배너입니다.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도록! 돈을 잘 벌고, 잘 불리고, 잘 쓰는 '틴즈 머니 마스터'에 함께 도전해 봐요. 오른쪽에는 책가방을 메고 공책을 들고 있는 한 학생이 있습니다. 배경에는 동전이 쌓여 있는 유리병과 책 세 권이 놓여 있습니다.

아린이는 예전부터 에어팟이 갖고 싶었어요. 처음으로 투자한 주식이 많이 올라, 매도*하고 이 돈으로 에어팟을 사려 했는데요. 매도 직후 투자금이 계좌에 들어오지 않아 당황했어요. 아린이 계좌에 오류가 난 걸까요? 아니에요. 매도 금액이 ‘예수금’으로 들어오려면 시간이 걸려요. 예수금 뜻과 국내, 해외 주식 출금 가능 시점을 알아볼게요.

*매도란 주식을 파는 걸 말해요. 반대로 매수란 주식을 사는 걸 말하고요.

이 콘텐츠의 제목 "예수금이란? 주식 매도 후 언제 출금할 수 있나요? 해외 주식 출금은?"이 적혀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예수금 상세 화면이 있습니다. 당일과 D+1 예수금은 300,000원, D+2 예수금은 800,000원입니다. 오른쪽에는 스마트폰에 그래프 화면이 떠 있습니다. 원형 그래프 안에는 300,000이 적혀 있습니다.

주식 예수금 뜻, 주식 예수금 출금

예수금이란?

예수금이란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사 계좌에 넣어둔 돈을 말해요. 보통 물건을 사고팔면 그 자리에서 돈을 주고받지만, 주식은 달라요. 주식을 판 돈이 내 계좌로 입금되기까지 2일이 더 필요하죠. 

주식 매도 후 출금, 언제 할 수 있나요?

주식 매도금은 영업일 기준 이틀 후(D+2)에 입금돼요. 출금도 이때부터 할 수 있고요. 영업일은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회사나 금융 기관이 정상적으로 영업하는 날을 말하는데요.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요.

 

  • 월요일에 매도했다면 수요일에 출금할 수 있어요.
  • 금요일에 매도했다면 주말을 제외하고 세야 해요. D+1은 다음 주 월요일, D+2은 다음 주 화요일이에요.

 

거래일 출금 가능일(D+2)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다음 주 화요일

💡 "D+2(이틀 후)"와 "T+2"의 차이점은?

D+2는 영업일 기준 거래일로부터 이틀 후를 뜻하는데요. 증권사에 따라서는 "T+2"라고도 써요. 여기서 T는 Transaction 또는 Trade의 약자로, D와 T 둘 다 거래일을 뜻해요. 

왜 이틀이 걸리나요?

주식 거래 결제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는 데 시간이 조금 걸리기 때문이에요. 주식을 사고팔면 한국예탁결제원에서 거래 내용을 확인하고,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결제*를 처리해요. 이 과정이 이틀 걸리고요.

*결제: 거래에 따라 주식 매도자는 매수자에게 주식을, 매수자는 매도자에게 현금을 지급해 법적인 의무가 완료되는 절차를 말해요.

예수금 D+2는 뭔가요?

주식 앱을 보면 예수금과 함께 D+1, D+2가 보일 거예요. 이는 거래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1일 뒤, 2일 뒤의 예수금을 뜻해요. 증권사 계좌에 30만원이 있는데, 오늘 A회사 주식을 60만원어치 팔았다면 D+2의 예수금은 다음과 같아요.

  거래일 D+1 D+2
예수금* 30만원 30만원 90만원

*실제 예수금은 세금과 수수료가 빠지기 때문에 이보다 적을 수 있어요. 

계좌 입금 전에도 주식은 살 수 있어요

매도 금액이 내 계좌로 입금되기 전이지만, 이 돈으로 다른 종목 주식을 사는 건 가능해요. 이처럼 출금은 안 되지만 주식을 주문할 수 있는 금액을 주문가능금액이라고 하고요. 위 예시의 주문가능금액*은 다음과 같아요.

  거래일 D+1 D+2
예수금 30만원 30만원 90만원
주문가능금액 90만원
90만원 90만원

*실제 금액은 세금과 수수료가 빠지기 때문에 이보다 적을 수 있어요. 

💡 주식 매수하면 언제 입고되나요?

주식 매수도 매도와 마찬가지로 “D+2”가 적용돼요. 매수 체결이 됐다고 해서 내 계좌에 주식이 바로 입고되지 않아요. 예를 들어 볼게요. 증권사 계좌에 100만원이 있는데, 월요일에 A회사 주식을 80만원어치 샀어요. 그러면 주문가능금액과 출금가능금액은 바로 20만원이 돼요. 하지만 실제 계좌에서 80만원이 빠져나가는 건 수요일이에요. 주식이 입고되는 것도 수요일이고요. 

*실제 출금가능금액은 D+2 예수금에서 세금과 수수료가 제외돼요.

해외 주식 출금, 외화 예수금 출금

해외 주식 매도하면 언제 출금할 수 있나요?

해외 주식도 국내 주식과 비슷해요. 매도 후 출금하기까지 하루이틀 더 걸리는데, 구체적인 기간은 나라마다 달라요. 시차가 있으면 하루 더 걸리기도 하고요. 
 

해외 주식 국가별 결제일, 매도 금액 출금일

국가 현지 결제일 매도 금액 출금일
미국 D+1 D+2
중국A D+1 D+1
홍콩 D+2 D+2
일본 D+2 D+2

(출처: KB증권, 기준: 2025.01.14.)

미국, 홍콩, 일본은 당일 매수, 매도가능(Day Trading), 중국의 경우 제도상의 이유로 매수결제 후 매도가 가능합니다(단, 중국종목 매도 자금으로 바로 매수는 가능하며 오프라인 국가는 현재 재매매 불가합니다.)

미국 주식은 2024년 5월 말부터 현지 결제일이 D+2일에서 D+1일로 하루 단축됐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와의 시차 때문에 출금 가능일은 하루 더 늦고요. 예를 들어 월요일에 엔비디아를 매도했다면, 수요일에 매도 자금을 출금할 수 있어요.

해외 주식: 외화 예수금 출금 방법

해외 주식은 매도하면 원화가 아닌 외화로 입금되기 때문에 원화로 환전해야 돼요. 이때 환전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어요.

주식은 매도해도 바로 출금할 수 없기 때문에 출금 가능 시기를 잘 계산해야 돼요. 급하게 돈을 쓸 일이 있다면 출금 가능일이 언제인지 확인하고, 계획에 차질 없도록 주식을 매도하세요.

3줄 요약

  • 예수금이란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사에 넣어둔 돈을 말해요.
  • 주식 매도 후 영업일 기준 2일 후에 출금할 수 있어요.
  • 해외 주식은 나라별로 결제일, 매도 자금 출금일이 달라요. 미국은 영업일 기준 2일 후에 출금할 수 있어요. 

이 콘텐츠는 금융감독원 e-금융교육센터 자료를 참고해 만들었습니다.
이 콘텐츠는 2025년 1월 16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오직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로 경제와 투자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 및 배포되었습니다. 수록된 내용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참고한 것이나, KB국민은행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라도 고객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를 묻는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콘텐츠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복제, 배포, 전송, 대여가 금지됩니다.

KB Think 오리지널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KB Think 오리지널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