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인보사케이주

Invossa-K Inj.

2017년 7월 10일 코오롱생명과학이 판매허가를 얻은 한국최초의 유전자 치료제. 연골세포에 재생 유전자를 삽입해 퇴행성관절염을 고치는 치료제다. `인보사'로 줄여쓰기도 한다.

인보사케이주는 다른 사람의 세포를 이용해 만든 세계 최초의 동종세포 유전자 치료제여서 주목받고 있다. 2017년 7월10일 현재까지 나온 유전자 치료제는 세계적으로 8개다. 이들 모두 환자의 세포를 이용한 자기세포 유전자 치료제다. 반면 인보사는 환자의 세포를 매번 채취할 필요가 없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인보사케이주는 손가락이 여섯 개인 다지증 환자(육손이)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었다. 다지증 환자 대부분은 여섯 번째 손가락을 절단하는데 회사는 여기서 관절·연골세포를 채취해 배양했다. 또 세포 일부에 연골세포의 분화·증식을 돕고, 염증을 억제하는 성장인자유전자(TGF-베타1)를 주입했다. 이렇게 배양한 세포를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 주사했더니 환자의 무릎 통증이 줄어들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2017년 9월께 인보사를 국내 시장에 내놓고 판매를 시작했다. 하지만 2019년 3월 주성분이 연골세포가 아니라 신장세포인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9년 7월 국내 판매허가를 취소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2019년 5월 미국에서 진행 중이던 임상 3상을 중단하도록 조치했다. 실패한 약’이라는 비판이 이어졌지만 코오롱은 포기하지 않았다. 성분 기재 오류에도 약효 등엔 영향이 없다는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문을 두드렸다.

임상 재개를 위해 코오롱티슈진은 2019년 8월과 2020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FDA가 요구한 자료를 제출했다. 이후 2020년 4월 12일 FDA는 코오롱생명과학의 자회사 코오롱티슈진에 공문을 보내 ‘임상보류(Clinical Hold)’를 해제하고 환자 투약을 재개할 것을 허가했다. 즉 임상 3상 재개를 승인한 것이다. 2021년 12월 미국에선 임상 3상 시험을 위한 환자 투여가 재개됐다.

FDA는 인보사 치료 대상 환자군을 넓히기 위한 티슈진의 계획도 승인했다. 무릎 관절염 대상 임상 3상과 별도로 고관절염 치료를 위한 임상 2상 시험을 시작했다.

2022년 4월 13일 코오롱생명과학은 싱가포르 제약사인 주니퍼바이오로직스와 최대 7234억원 규모 인보사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이 바로 수령한 계약금은 150억원이다. 허가 단계별 마일스톤에 따라 7084억원을 받게 된다.

주니퍼는 일본 인도 싱가포르 중동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40개국에서 인보사를 독점적으로 개발해 공급할 수 있게 됐다. 티슈진은 이들 지역에서 판매된 인보사 매출의 5~20%를 로열티로 받게 된다. 기술수출 계약금의 절반도 티슈진 몫이다. 한국과 중국 등의 인보사 판권은 코오롱생명과학이 보유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창조과학

Creation science

신이 우주를 창조했다는 기독교 창조론이 과학적 근거를 갖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이론으로 근본주의 개신교 단체들과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자들이 주도하고 있다.

진화론은 물론이고 현대 과학의 성과인 지질론, 우주론 등을 부정하고 성경에 나오는 ‘6일간 우주 창조’ ‘신에 의한 모든 생물종의 동시 창조’ 등이 과학적 사실로 입증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창조과학은 해외와 국내에서 끊임없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2000년대 초반 미국 일부 개신교 보수단체들이 펜실베이니아주를 비롯한 일부 주 공립학교 교과서에 진화론이 복잡한 유기체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신의 설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이름만 바꾼 지적설계론을 채택하려고 시도하면서 큰 논란이 일었다. 미 연방법원은 2005년 지적설계론이 창조론에 이름을 달리 붙인 것이며 종교에 근거한 증명할 수 없는 가설을 가르치려 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국내에선 2012년 개신교 교육단체가 고교 과학교과서에서 진화론의 대표적인 근거로 꼽히는 ‘시조새’와 ‘말의 진화’ 등의 대목을 삭제하는 운동을 벌인 일이 있다. 당시 국제학술지 ‘네이처’까지 나서 한국 교과서에서 진화론 증거들이 삭제된 사건을 다루며 한국에서 진행된 논란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2008년에는 KAIST에 창조론을 홍보하는 창조과학전시관이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정통 과학계는 물론 가톨릭과 주류 개신교 신학계에서도 동의하지 않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교황청 과학위원회 검토를 거쳐 진화론과 빅뱅이론이 가톨릭 가르침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