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국방수권법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미국의 국방 정책을 결정하는 기초적인 법안. 매년 제정되며, 국방예산, 국방 계획, 군인 급여, 군사 장비 구입, 정책 등 다양한 영역에 관한 규정이 포함된다. 또한 동시에 미국이 국가안보를 이유로 외국기업의 미국 투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거나 다른 나라에 대해 정치적 군사적 제제를 가하도록 허용하는 법이기도 하다.

이란 핵무기 개발제제 이란 석유수출제제 해외자산 동결등의 조치가 이 법에 근거하고 있다. 또한 이런 제재 조치에 우방국을 동시에 참여하도록 강제성을 부여하는 것도 이 법에 근거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17년 12월 12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미사일방어체계 확충 예산 123억 달러가 포함된 7000억 달러(약 764조500억원) 규모의 2018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NDAA)에 서명했다.
또한 2018 국방수권법에는 미군의 대만 함정 교차 방문 등 양국 군사협력을 강화하는 내용도 담겨 있어 중국의 반발을 샀다.

2021년 국방수권법에는 미 국가안보에 필요한 7410억달러 규모 국방예산안이 포함됐다.
또한, 한국, 독일, 아프간 등 해외에 파병한 미군을 외교정책 변경에 따라 철수시켜 재배정하거나 미본토로 귀환시키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특히 주한미군의 규모를 현재의 2만8500명 미만으로 줄이는 예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과 주독일미군을 3만4500명 이하로 줄일 경우, 미 국방성은 이것이 국가안보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보고서를 반드시 의회에 제출하여 사전에 승인을 받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1 국방수권법에 대해 2020년 12월에 거부권을 행사했지만, 상하원이 이를 재의결해 대통령 거부권을 무효화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뇌종양

두개골 안에 암 등 종양이 생기는 것이다. 뇌와 뇌 주변 구조물에 생기는 모든 종양을 뇌종양이라고 부른다. 뇌에서 종양이 시작되기도 하고 폐암, 유방암, 위암 등 소화기계 암이 뇌로 번져 생기기도 한다. 뇌에서 시작된 암을 원발성 뇌종양이라고 부르는데 다른 암과 달리 뇌 이외 신체기관으로 전이되는 일은 드물다.

뇌종양은 인체에 생기는 종양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국내에서는 매년 3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한다. 뇌종양은 종양의 종류에 따라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으로 구분한다. 양성 종양으로는 뇌수막종, 청신경초종, 뇌하수체 선종 등이 있다. 악성은 악성 신경교종, 전이성 뇌종양, 림프종 등이 있다.

악성 신경교종은 동양인보다 서양인에게 많다. 양성 종양 중 뇌수막종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생긴다. 뇌종양을 구성하는 세포에 따라 신경교종, 뇌수막종, 신경초종, 뇌하수체 종양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가장 흔한 원발성 뇌종양은 신경교종이다. 원발성 뇌종양 환자 가운데 40% 정도를 차지한다. 수막종이 20%, 뇌하수체 선종 15%, 신경초종 15%, 기타 종양이 10% 정도다. 교모세포종은 신경교종 중 가장 악성도가 높은 암이다.

뇌종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뇌종양이 유전적인 요인 때문에 생기는 질환이라는 연구 결과가 많다. 종양이 생기는 것을 막아야 할 종양 억제 유전자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정상 상태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암 유전자가 작동해 암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외에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뇌손상, 방사선 및 발암물질 노출, 바이러스 감염, 음주, 흡연 등도 뇌종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휴대폰 전자파에 많이 노출되면 뇌종양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이 많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흔한 증상은 두통

뇌종양은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발견하기 힘들다. 다른 뇌 질환 때문에 뇌 검사를 했다가 우연히 종양을 발견하는 환자가 많다. 뇌종양이 생겨 신체 변화가 시작되면 두통, 운동마비, 경련, 시력 및 시야 이상, 지적 기능 및 정신기능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뇌졸중이나 치매, 파킨슨병 등의 증상과 뇌종양 증상이 비슷해 다른 질환으로 오인하기도 한다.

뇌종양 환자에게 가장 흔한 증상이 두통이다. 종양 크기만큼 뇌 속 부피가 늘어나면 뇌의 압력이 올라간다. 두통이 생기는 이유다. 두통은 뇌종양 환자 70% 정도가 호소한다. 뇌종양 때문에 생기는 두통은 다른 두통과 달리 장시간 누워있는 새벽이나 아침에 심해진다. 두통 때문에 밤잠 설치는 일도 많다. 구역질이 나고 구토 증상을 함께 호소하기도 한다. 뇌압이 상승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약을 먹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점점 심해지고 구역질 증상 등이 함께 있으면 뇌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지체하면 시력장애 의식장애 등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뇌종양은 생기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마비 증상이 생긴다. 언어중추 운동중추 등과 연결된 부위에 종양이 생기면 언어장애, 운동마비 등이 나타난다. 종양이 소뇌에 생기면 균형을 잘 잡지 못해 걷는 데 어려움을 호소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후안 마누엘 산토스

Juan Manuel Santos

콜롬비아 대통령. 콜롬비아 정치 명문 산토스가(家) 출신이다. 1938년부터 1942년까지 대통령을 지낸 에두아르도 산토스가 종조부이고,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부통령을 맡은 프란시스코 산토스가 사촌형이다. 미국 캔자스주립대, 영국 런던정치경제대(LSE),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유학을 마친 뒤 콜롬비아 최대 일간지 엘티엠포에서 편집 부국장과 국장으로 일했다. 엘티엠포는 그의 가족이 경영하는 언론사다.

2006년 강경파 알바로 우리베 대통령에 의해 국방장관으로 발탁돼 반군인 콜롬비아무장혁명군(FARC) 토벌에 앞장섰다. 2008년 FARC에 6년간 인질로 잡혀 있던 잉그리드 베탕쿠르 전 대통령선거 후보 등을 구출해 인지도가 높아졌다. 그해 에콰도르에 있는 FARC 기지를 폭격해 FARC 고위 간부 라울 레예스가 사망했다.

2010년 우리베 전 대통령의 지지 아래 대선에 도전, 69%라는 압도적 표차로 당선됐다. 취임 후 FARC와의 평화협상에 나서며 우리베의 그늘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전 정권 주요 인사를 부패 혐의로 처벌하기도 했다.

평화’를 모토로 2014년 재선에 성공했다. 2016년 11월 반군과의 4년여 평화협상을 종결짓고 내전 종식을 선언했다. 평화협정 체결에 앞서 2016년 10월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2018년 8월 임기가 끝난다. 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초청으로 방한했다.

약력
△1951년 8월 콜롬비아 보고타 출생 △1969년 콜롬비아 해군사관학교 졸업 △1973년 미국 캔자스주립대 졸업 △1975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LSE) 경제개발학 석사 △1981년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석사 △1983년 엘티엠포 편집국장 △1991~1994년 통상장관 △2000~2002년 재무장관 △2006~2009년 국방장관 △2010년 대통령 당선 △2014년 재선 △2016년 노벨평화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