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와 맞벌이 부부 증가로 남녀 모두 가사 및 육아 부담이 늘고 가정 내 남녀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파괴됨
〇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로 여성의 경제력이 상승하고 남성의 입지가 변화하여 남성의 가사 및 육아 참여율이 증가
- 과거에 비해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고 남성이 홀로 경제 활동을 수행하는 가구는 감소
- 30대² 맞벌이 가구 비율은 2012년 41.7%에서 2022년 54.2%로 12.5%p 증가
- 과거 남성은 가정에서 경제의 주축으로 공고한 위치를 차지했으나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로 경제력이 상승하면서 이러한 입지에 변화가 발생
- 남성 대비 여성의 소득 비율은 2012년 79%에서 2022년 84%로 5%p 상승³
- 여권 신장, 남녀평등 의식 확산 등도 남성의 가사 및 육아 참여율 증가에 영향
- X세대부터 시작된 부모 및 기성세대에 대한 반감도 전통적인 남성의 가정 내 입지가 흔들리게 된 요인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