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업가 트럼프 : 성공한 부동산 개발업자
❑ 국내에서는 과격한 언행이 부각된 측면이 있으나, 트럼프는 인간의 본성을 잘 파악하고 마케팅 효과를 전략적으로 극대화하는 등 부동산 사업가로서 탁월한 능력을 보유
2. 정치인 트럼프 : MAGA 복음 전도사
❑ 트럼프는 2015년 6월 정치 참여를 선언하면서 ‘MAGA(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주장했고, 이는 트럼프가 미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도자로 부각되는 데 기여
• MAGA 운동은 ①관세 부과를 통한 제조업 기반 확대 ②불법 이민자 추방을 통한 블루칼라 노동자 보호 ③불필요한 전쟁의 종식을 골자로 하며, 소외된 백인 계층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계기로 작용
❑ 트럼프의 2016년 대선 승리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평가된 바 있으며, 2024년 대선 승리는 새로운 미국의 시작으로 해석되어 그 의미가 한층 부각됨
❑ 공화당 내부적으로 계파 간 무역 정책, 대중국 정책, 반친환경 기조 측면에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으나 동맹국과 국제기구 등에 대해서는 시각차를 보임
①국외 문제 비개입주의 그룹은 미국이 세계 경찰 역할을 그만두어야 한다는 견해
②전략적인 우선순위주의 그룹은 우선순위에 기반한 외교적인 선택과 집중을 강조
③미국 우월론주의 그룹은 글로벌 리더십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공화당 입장과 맥을 같이함
❑ 트럼프는 ①국외 문제 비개입주의 또는 ②전략적 우선순위주의에 가까운 견해를 보인다는 점에서 향후 자국의 이익에 따라 실용주의 노선을 취할 것으로 예상
3. 미국 대외 정책 기조의 변화 조짐
❑ 워싱턴 컨센서스(Washington Consensus)는 1980년대 후반(로널드 레이건, 조지 H.W. 부시)부터 2016년(오바마 행정부)까지 미국 대외 정책의 주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으며 글로벌 리더십 구축에 기여
• 워싱턴 컨센서스는 미국식 자본주의 모델에 기반하여 세제 개혁, 무역·투자 자유화, 시장 중심 경제 등을 지향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 2017년 외교 부문의 전략적 원칙인 ‘트럼프 독트린’의 등장은 워싱턴 컨센서스에 대한 반작용으로 볼 수 있으며, 미국 외교 정책 기조의 변화를 시사
❑ 바이든 행정부의 ‘뉴 워싱턴 컨센서스(New Washington Consensus)’는 공급망 회복을 통한 보호주의를 표방하여 트럼프 독트린과 유사한 면이 있으나, 글로벌 다자주의 회복과 정부 주도 산업 정책의 경우 트럼프의 외교 정책과 차이를 보임
4. 결어
❑ 정치인 트럼프의 등장은 ‘위대한 미국의 부활’이라는 시대정신을 대변하며, 미국 우선주의 기조는 글로벌 정세 변화에 따른 결과물로 볼 수 있음
❑ 현재 미국 우선주의 기조는 기존 워싱턴 컨센서스와 차별화된 새로운 축을 형성해 가는 과정으로 보이나, 트럼프 2기 행정부 이후에도 꾸준히 지속될지 여부는 아직까지 불확실
❑ 한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이밀 청구서에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취임 초기 2년 동안 예상되는 트럼프의 공세적 외교에 현명하게 대처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