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준만, 2016, “미디어 혁명이 파괴한 위선의 제도화 :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트럼프 현상”,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9권 제2호.
김애경, 2010, “세계금융위기와 베이징컨센서스의 대외적 확산”, 《동서연구》, 제22권 제2호.
김성택, 2024, “트럼프 2.0 이후 미국의 정책 패러다임 변화 방향 및 시사점”, 《Issue Analysis》.
권보람, 2024,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 정책 전망 : 외교 정책결정집단을 중심으로”, EAI 워킹페이퍼, 트
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⑤.
딜로이트, 2023, “마당은 좁히고 울타리는 높인다...바이든 정부가 추구하는 새로운 세계질서”.
도널드 트럼프, 2004, 『거래의 기술』, 이재호 역, 김영사.
도널드 트럼프, 2004, 『트럼프의 부자되는 법』, 이무열 역, 김영사.
도널드 트럼프, 2005, 『트럼프의 억만장자처럼 생각하라』, 김선희 역, 물푸레.
도널드 트럼프, 2007, 『CEO 트럼프 성공을 품다』, 권기대 역, 베가북스.
도널드 트럼프, 2008, 『도널드 트럼프 억만장자 마인드』, 김원호 역, 청림출판.
도널드 트럼프, 2010, 『최선을 다한다 말하지 말고 반드시 해내겠다 말하라』, 조동섭 역, 중앙북스.
도널드 트럼프, 2016, 『불구가 된 미국』, 김태훈 역, 이레미디어.
도널드 트럼프, 2017, 『트럼프, 강한 미국을 꿈꾸다』, 이은주ㆍ도지영 역, 미래의 창.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2024, 『자유무역이라는 환상』, 이현정 역, 마르코폴로.
로버트 슬레이터, 2006, 『트럼프의 성공 방식』, 김선희 역, 물푸레.
민경훈, 2023, “2024년 미국 대선전망 및 정책적 함의”, 주요국제문제분석 2023-41
밴디 리, 2018, 『도널드 트럼프라는 위험한 사례』, 정지인ㆍ이은진 역, 푸른숲.
서정건·차태서, 2017,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외교의 잭슨주의 전환”, 《한국과 국제정치》, 제33권 제1호.
서정건, 2024, “2024년 미국 대선 결과 분석과 미국 외교 전망”, 《아산정책연구원 Issue Brief》, 2024-34.
서정건, 2024,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양극화 정치”,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①.
손병권, 2024, 『티파니 운동과 위대한 미국 운동』,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송의달, 2024, 『신의 개입 : 도널드 트럼프 깊이 읽기』, 나남.
이현정, 2020, “워싱턴 컨센서스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 21》, 제11권 5호.
이혜정, 2021, “바이든의 미국 우선주의 : 중산층을 위한 외교”, 《한국정치연구》, 제30집 제3호.
임혜란, 2012, “대변환기의 국제정치경제질서 : 패권과 신자유주의 질서의 변환”, 《한국과 국제정치》, 제28권 제1호.
양준석, 2024, “미국 통상정책의 현재와 미래 : 보호주의 재림과 강화”,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②.
윤상우, 2014, “베이징 컨센서스 비판 : 라모와 아리기의 논의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제11권 제4호.
정구연, 2022, “트럼피즘과 트럼프 독트린 : 이민자 인식에 대한 포퓰리즘의 영향력 분석”, 《한국과 국제사회》, 제6권 제2호.
정구연, 2024, “미국 우선주의에 대한 공화당 내 다양한 해석과 미국 대외 정책에 대한 함의”, 《아산정책연구원 Issue Brief》, 2024-22.
정영우, 2024, “산업정책 논쟁으로 본 2024 미국 대선”,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④.
조지 로스·앤드류 제임스 멕린, 2010, 『도널드 트럼프의 백만장자 수업』, 최승욱·정원호 역, 중앙일보조인 스랜드.
차태서, 2024, , “신우파의 부상과 미래 미국”,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⑥.
하상응, 2024, “2024년 대통령 선거를 통해 본 미국 민주당의 미래”, EAI 워킹페이퍼,, 트럼프 복귀와 미국 시리즈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