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주차] 금융시장 전망(1)

시리즈 총 3화
2023.10.10

읽는시간 4

0

이번 주 지표

국제유가 급등으로 미국 물가 상승 우려 확대

  • 미국: 에너지 가격 급등이 소비자 및 생산자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시장예상을 상회하는 결과가 나오면 통화정책 불확실성 커질 우려
    * 휘발유 등 에너지 가격 상승과 연준의 고금리 기조 장기화, 하원의장 해임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소비자심리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을 전망

  • 유로지역: 산업생산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제조업 경기 금주 주요 지표 전망치 위축과 ECB 추가 긴축에 따른 기업 부담 확대로 당분간 부진한 흐름 이어갈 전망 지표 현재가 전망

  • 일본: 생산자물가는 유가 상승 및 엔화약세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압력으로 오름세가 예상되나, 지난해 물가에 대한 기저효과로 오름폭 축소 예상

  • 중국: 소비자물가 (CPI) 상승률은 여전히 0%대 초반이 예상되며, 향후 오름폭 확대는 청년실업 및 부동산 문제가 해소되어야 가능할 전망

  • 한국: 보건복지 및 숙박·음식업 등 서비스 부문에서의 취업자 증가에도 제조업 부문의 취업자 수 감소 영항으로 9월 실업률은 전월보다 0.1%p 높은 2.5%를 예상

금주 주요 지표 전망치

1207_99_125687_(231010)주간금융시장전망_대외_2

자료: KB국민은행

FX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로 유가 상승과 환율 상승 압력 불가피

  • 팔레스타인의 무장 단체인 하마스의 이스라엘 폭격에 이스라엘도 전쟁 선포

  • 이스라엘의 전략적 부담, 미국 등의 중재 예상 등으로 중동 전쟁으로 확전되지 않을 전망이 우세

  • 그럼에도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단기적인 유가 상승과 환율 상승을 예상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전망

1207_99_125687_(231010)주간금융시장전망_대외_5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