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주차] 금융시장 전망(1)

시리즈 총 3화
2023.12.04

읽는시간 4

0

이번 주 지표

美 고용시장 둔화 확인 시, 내년초 금리인하 기대감 확대될 전망

  •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증가하는 등 고용시장이 둔화하는 상황이나, 자동차 노조 파업 종료로 제조업 부문의 고용이 증가해, 비농업고용자수는 전월대비 늘어날 전망
    * 중동지역 분쟁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쟁 초반 반등했던 국제유가가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어,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대비 개선이 기대

  • 유로지역: 소매판매는 고금리 환경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하락세를 이어갈 전망

  • 일본: 11월 도쿄 소비자물가 (CPI)는 그간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던 국제유가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엔화도 차츰 강세를 보이고 있어 오름 폭 축소가 예상

  • 중국: 소비자 및 생산자물가는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로 디플레이션이 지속될 전망

  • 한국: 11월 소비자물가 (CPI)는 국제유가 및 농산물 가격 둔화와 환율 하락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 영향으로 오름 폭을 줄이며 둔화세를 이어갈 전망
    * 10월 경상수지는 무역수지 흑자 폭 축소에도 불구하고, 여행수요 감소에 따른 서비스수지 적자 폭 감소가 이를 상쇄하며 50억 달러 수준의 흑자를 예상

금주 주요 지표 전망치

금주 주요 지표 전망치를 표로 나타냄. 달러/원 환율은 1,315원 상단 예상, 반락할 경우 1,280원까지 하락 가능.

자료: KB국민은행

FX

미국 고용 발표 앞두고 시장 혼조, 국내 무역 회복에 원화 강세 예상

  • 지난주 미국 국채 금리와 달러화 변동에 따라 1,290원에서 1,300원 초반 등락

  • 금주 미국 민간 고용지표 발표 앞두고 경계심리 지속되며 시장 혼조세 예상

  • 11월 무역흑자 폭 확대와 12월의 수출 개선 지속은 원화 강세 요인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전망

금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및 전망을 나타내는 표. 각 국가의 발표일, 지표, 이전치, 전망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섯 가지의 국가를 다루고 있습니다. 국가의 종류는 '미국', 'EU', '일본', '중국', '한국' 입니다.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