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시장이 뜬다! 펫코노미 트렌드란?

우리 멍냥이를 위한 먹거리, 쓸거리, 놀거리 알아보세요
2025.03.31

읽는시간 4

0

이런 분들이 읽으면 좋아요!

  • 반려동물 시장 업계의 전망이 궁금한 분
  • 반려동물 시장 트렌드가 궁금한 분
  • 펫코노미 등 반려동물 관련 신조어가 궁금한 분
지난해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2,273만 가구예요. 4가구 중 1가구 이상이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어요.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관련 제품과 서비스도 다양해지고 있어요.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 배경과 산업 트렌드를 살펴볼게요.😊

반려동물 시장이 뜬다! 펫코노미 트렌드란?이라는 제목과 웰시코기의 사진.

반려동물 시장 성장세

🐾 펫코노미의 등장

2032년 반려동물 시장이 얼마나 커질지 보여주는 도표로,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반려동물 연관 산업 육성 대책'

반려동물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요. 농림축산식품부 <반려동물 연관 산업 육성 대책>에 따르면, 글로벌 반려동물 시장은 10년 동안 2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고, 국내는 이보다 더 가파르게 성장해 2032년에는 2.5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요. 이 같은 현상에 '펫코노미'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어요.

📌 펫코노미가 뭔가요?

펫코노미는 펫(pet)과 이코노미(economy)의 합성어로, 반려동물과 관련된 산업을 의미해요. 반려동물이 먹는 사료나 간식, 의류 같은 생필품부터 의료 서비스, 호텔링, 미용 등 다양한 편의 서비스까지 모두 펫코노미에 포함돼요.

반려동물 시장 성장 배경

💰 월 평균 양육 비용 15만 4천원

반려동물 시장의 가파른 성장 배경에는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변화가 있어요. 예전에는 반려동물을 단순히 키우는 존재로 여겼다면, 이제는 가족처럼 생각하며 더욱 좋은 것을 먹이고, 입히고, 사주는 등 아낌없이 투자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어요.

 

고령화와 저출생도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 이유로 꼽혀요. 허전하고 외로운 마음을 반려동물로 달래거나, 자녀 대신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났어요.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위해 월 평균 지출하는 금액은 15만 4천원이다.

자료: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 월 양육비의 지출처 Top 4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반려동물을 위한 지출도 증가하고 있어요.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의 월평균 지출은 15만 4천원이에요. 이 금액은 건강관리나 치료비는 제외한 비용으로, 실제 지출은 더 많을 가능성이 커요.

반려동물 시장 트렌드 ① F&B

🍖 이제 펫푸드도 '웰빙'해요!

풀무원은 반려동물 전용 푸드 두부너겟을 출시했다.

펫코노미 시장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는 단연 F&B예요. 그중에서도 웰빙 및 고급 펫푸드 시장이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어요. 풀무원식품에서 출시한 강아지용 두부 간식 3종은 올해 1~2월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4.8%나 증가했죠. 반려동물의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소비 현상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요.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먹거리 시장도 확대되고 있어요. 일부 펫푸드 기업에서는 반려동물 나이나 품종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유전 질병의 통계 자료를 제공하고, AI가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펫푸드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 사료뿐 아니라 분유, 간식, 영양제 등 추천 품목도 다양해요.

반려동물 시장 트렌드 ② 패션

👕 다양한 컬러와 패턴의 '펫 컬렉션' 출시

국내 속옷 브랜드 BYC는 강아지 전용 내복 개리야스를 출시했다.

이제 반려동물도 패션과 라이프스타일을 중시하는 시대예요. 루이뷔통, 구찌 등 명품 브랜드부터 헤지스, MLB, 빈폴 등 여러 패션 브랜드가 '펫 컬렉션'을 출시했어요. 특히 반려동물과 보호자가 함께 입는 커플룩, 일명  '견플룩(강아지+커플룩)'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요. 

 

반려동물 패션 산업이 확장되며 다양한 브랜드에서 반려동물 의류 제품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국내 속옷 기업 BYC는 2022년 반려견용 의류 라인 '개리야스'를 출시해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어요.

반려동물 시장 트렌드 ③ 여행

⛱️ 반려동물과 함께 떠나볼까요?

반려동물 시장이 뜬다! 펫코노미 트렌드란?.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이 늘면서 여행·숙박 업계에서도 다양한 반려동물 동반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어요. 콘래드 서울은 반려견과 함께 투숙하며 럭셔리한 프로그램과 미식을 즐길 수 있는 '펫 메종' 패키지를 출시했어요. 이외에도 독채 펜션, 야외 캠핑장 등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뛰놀 수 있는 시설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죠.

 

반려동물과 함께 갈 수 있는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확대되고 있어요. 한국관광공사는 카카오 모빌리티와 함께 '댕댕 여행 지도'를 출시해 반려동물과 함께 가기 좋은 여행지를 소개해요. 네이버 플레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3만여 개 반려동물 동반 가능 장소를 안내하는 '갈 수 있어 강아지도' 서비스도 인기를 끌고 있어요.

반려동물 관련 신조어 알아보기

📝 펫휴머니제이션, 펫티켓, 펫캉스, 펫셔리 등

사람의 손이 고양이의 얼굴을 쓰다듬는 사진.

반려동물 시장이 성장하면서 펫코노미 외에도 펫캉스, 펫셔리 등 다양한 신조어도 생겨났어요.

✔️ 반려동물 관련 신조어 체크

  • 펫휴머니제이션(Pet + Humanization)
    반려동물을 단순한 애완동물이 아닌 가족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현상
  • 펫티켓(Pet + Etiquette)
    공공장소에서 반려동물을 동반할 때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예절
  • 펫캉스(Pet + 호캉스)
    반려동물 전용 시설을 갖춘 호텔에서 함께 휴가를 즐기는 것
  • 펫테리어(Pet + Interior)
    반려동물이 생활하기 편리하도록 집을 꾸미는 것. 층간 소음을 줄이는 바닥재, 전용 가구 등이 대표적
  • 펫셔리(Pet + Luxury)
    반려동물을 위해 고급 제품이나 서비스를 아낌없이 소비하는 트렌드

반려동물 시장은 이제 단순한 용품 소비를 넘어,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어요. 반려동물전용 24시간 무인매장, 보험, 상조 등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문화가 자리 잡으며 시장이 더욱 세분화되고 있죠. 앞으로도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위한 트렌드가 계속될 것으로 보여요. 🐶🐱💕

3줄 요약

  •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과 인구 구조 변화, 소득 수준 향상으로 반려동물 시장이 성장하고 있어요.
  • F&B, 패션,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반려동물을 위한 특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요.
  • 펫코노미, 펫셔리 등 반려동물 관련 신조어들이 생겨나고 있어요.

이 콘텐츠는 대학내일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이 콘텐츠는 2025년 3월 3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발행일 이후 변경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오직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개인적인 자문 또는 홍보 목적의 콘텐츠가 아닙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이 입은 손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습니다.

KB Think 오리지널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KB Think 오리지널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