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 실수요자, 새해에는 경매시장에도 관심을…

박원갑 박사의 1월 부동산이야기
2023.01.03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금리쇼크 영향으로 2023년 하반기부터 매물 늘 듯
  • 시세는 보수적으로 판단, 대단지 랜드마크 흐름 주목
  • 경매는 잔재주보다는 끈기가 더 중요

경매는 부동산 불황 시기에 각광을 받는 투자방식이다. 하지만, 요즘 경매시장은 한산하다. 경매업체 통계에 따르면 22년 1월 서울지역 아파트 경매낙찰율이 103%에 달했으나, 같은 해 12월에는 78%로 낮아졌다. 또한, 같은기간 경기도와 부산시도 73%로 낮아졌다. 수십 대 1의 경쟁률은 옛말이 되고 있다.

 

현재 경기가 좋지는 않지만 급매물이 쏟아지지는 않고 있다. 아직은 어음부도율이나 대출 연체율이 낮기 때문일 것이다. 어음부도율은 2022년 10월 현재 0.2%로 전월 0.26%보다 오히려 낮아졌다. 9월 기준 은행 대출 연체율도 0.21%로 낮은 수준이다. 또한, 경매물건은 채권자가 경매를 신청한지 5~7개월 후에 매물로 등장한다. 기준금리가 연 3%를 넘어선 시점이 2022년 10월이니 2023년 하반기 이후 부터 영끌푸어의 매물이 나올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매에 나설 때 주의해야 할 점 3가지를 꼽고 싶다.

첫째, 경매의 기초지식 공부는 필수이다. 유치권, 법정 지상권 등 권리관계, 경매물건 하자 부분 등은 전부 낙찰자의 책임이다. 경매 강의를 직접 듣거나 전문서적을 통해 경매 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시세 판단을 현재 기준가로 보지 말아야 한다. 향후 시세가 우하향 할 수 있으니 보수적으로 접근해야한다. 시세 흐름은 나 홀로 보다 대단지 랜드마크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대단지가 시장의 풍향계이자 바로미터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셋째, 경매는 잔재주가 아니라 끈기가 중요하다. 경매는 두세 번 시도하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철저한 분석과 인내력을 가지고 도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택시장

지역별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 증감률

지역별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 증감률

자료: KB국민은행(11월 대비 12월 기준)

1. 매매가격 동향

  • 12월 전국주택매매가격 전월대비 하락
    * 9월(-0.16) → 10월(-0.55) → 11월(-1.10) → 12월(-1.03)

 

  • 지역별 매매가격 동향
    - 수도권 : 서울, 경기, 인천 (하락)
    - 5대 광역시 : 5대 광역시 (하락)
     * 부산(-0.96), 대구(-1.30), 광주(-0.71), 대전(-1.09), 울산(-1.14)
    - 기타 지방 : 전 지역 (하락)

2. 전세가격 동향

  • 12월 전국주택전세가격 전월대비 하락
    * 9월(-0.10) → 10월(-0.51) → 11월(-1.43) → 12월(-1.57)

 

  • 지역별 전세가격 동향
    - 수도권 : 서울, 경기, 인천 (하락)
    - 5대 광역시 : 5대 광역시 (하락)
    - 기타 지방 : 대부분 지역 (하락)

3. 거래 동향

  • 거래절벽 지속
    * 22년 10월, 주택매매거래량 3만 2,173호
    역대 최저 수준 기록, 당분간 매수자 주도 시장 예상

주택 매매거래량 추이

주택 매매거래량 추이

자료: 부동산통계정보 R-ONE

부동산시장 Trend

외국인 국내 부동산 매수 감소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국내 부동산(집합건물, 토지, 건물)을 매수한 외국인은 1만 3,92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특히, 그동안 국내 부동산 매입에 적극적이었던 중국인의 매수세도 일년 새 22.7% 감소한 것으로 확인됨.

미국 주택가격 하락세

‘S&P 다우존스 인덱스’에 의하면 미 주요 도시들이 평균 주택가격지수가 10월에 전월 대비 0.5% 하락하여 지난 6월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발표함. 20대 도시 평균 주택가격이 모두 하락한 가운데 미국경제 둔화 및 금리인상으로 당분간 하락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함.

박원갑

KB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부동산 시장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각, 미래를 읽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박원갑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