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소셜로봇

social robot

사람과 대화로 의사소통하고, 사람의 감정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감정도 표현할 수 있는 로봇을 의미한다. 일본에서 인기를 끈 일본 소니사의 ‘아이보’가 대표적인 예다.
로봇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토룩에서 개발한 리쿠도 아이보와 비슷한 소셜로봇이다. 두발로 걷는 휴머노이드 형태란 점이 아이보와의 차이다. 사람처럼 걷고, 뒷걸음질하며 자연스럽게 방향도 바꾼다.
리쿠는 특정 사람을 자주 보면 머신러닝으로 ‘기억’하고 ‘가족’으로 간주한다. 가족으로 인식한 사람에게는 애교를 부리거나 먼저 인사하는 등 더 친숙한 행동을 하도록 프로그래밍돼 있다. 밝은 환경에서 정면으로 사람 얼굴을 봤을 때 90% 이상의 확률로 사람을 인식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리쿠는 기쁨, 슬픔, 평온함, 놀라움, 화남 등 사람의 감정도 읽을 수 있고 같은 감정을 표정과 몸동작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리쿠의 머리를 쓰다듬으면 센서로 이를 파악해 웃는 눈이 되며 “리쿠리쿠”라고 말한다. 간단한 대화도 가능하다. 리쿠한테 ‘기분 좋아?’라고 물으면 리쿠는 ‘행복해’나 ‘슬퍼’라고 답한다. 2~3세 정도의 어린아이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일반 로봇 회사들은 기술, 모듈 등 특정 분야에만 집중하지만 토룩은 다양한 분야 기술을 동시에 연구해 완성품을 구현했다. 아기같이 큰 머리, 짧은 다리를 지닌 리쿠의 디자인에 맞게 프레임과 커버를 제작했고, 로봇의 관절 역할을 하는 액추에이터(구동장치) 22개도 직접 제작했다. 얼굴 및 소리 인식 시스템, 행동 결정 알고리즘 등도 딥러닝(기계학습) 기반으로 자체 개발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모리스 옵스펠드

Maurice Obstfeld

미국 UC버클리 교수로 거시경제는 물론 국제무역과 통화정책 등의 연구로 세계적 명성을 얻은 경제학자다. 미 펜실베이니아대를 졸업하고 영국 케임브리지대를 거쳐 1979년 미 매사추세츠공과대(MIT)에서 자본이동과 통화정책에 관한 논문으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케네스 로고프 미 하버드대 교수와 함께 쓴 《국제 거시경제학의 기초》, 폴 크루그먼 미 프린스턴대 교수와 쓴 《국제경제학》 등은 경제학도의 필독서로 통한다.
현실 경제정책 입안에도 적극 참여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2년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을 맡아 오바마 대통령에게 무역협정과 에너지·환경정책 등을 조언했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일본은행 통화경제연구소 명예고문을 지내면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등 아시아 경제에도 조예가 깊다는 평가를 받는다.
옵스펠드 교수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국제통화기금(IMF) 수석이코노미스트로 재직하며 IMF의 세계 경제 전망 등 모든 경제분석과 연구를 총괄했다.
2017년 국제 콘퍼런스 참석차 방한해서는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국가의 고령화를 거론하며 “인구통계학적 문제에 직면한 일부 국가는 부유한 국가가 되기 전에 고령 국가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한국형 레몬법

신차 구입 후 1년(주행 거리 2만㎞) 이내에 중대한 하자로 2회(일반 하자는 3회) 이상 수리하고도 증상이 재발하면 제조사에 교환이나 환불을 요구할 수 있는 제도. 자동차관리법에 있는 조항.
레몬은 달콤해 보이는 겉모습과 달리 신맛이 강해 미국에선 ‘하자 있는 상품’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미국은 자동차와 전자제품에 결함이 있을 때 제조사가 교환·환불 등을 하도록 하는 레몬법을 1975년 제정했다.

2019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한국형 레몬법은 구매 후 1년 이내에 같은 고장이 반복되면 제조사가 차량을 교환·환불해 주는 제도다. 강제성이 없어 제조사가 계약서에 교환·환불에 대한 내용을 자발적으로 넣지 않으면 효력이 없다.

2019년 5월 15일 현재 현대·기아차, 르노삼성, 쌍용, 한국GM 등 한국 제조사는 모두 레몬법에 동참하고 있다.
이에 비해 외국 자동차사들의 참여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5월 9일 기준으로 수입차 제조사 중 볼보, 닛산, 도요타, BMW, 재규어·랜드로버, 벤츠, 혼다, 캐딜락 등이 공식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9월 2일 아우디 폭스바겐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이외에 포드, 캐딜락 등은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이들을 제외한 몇몇 수입차 제조사는 아직 까지 참여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듀얼 모멘텀

투자 자산 가운데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곳에 투자하는 상대모멘텀에다 투자 자산의 절대적 상승세를 평가한 절대모멘텀을 결합해 위험을 추가로 관리하는 투자전략이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투자전략 전문가인 게리 안토나치가 만든전략으로 그의 전략을 이용한 투자법은 1974년부터 40년간 시장 평균 수익률을 웃도는 성과를 냈다.
그는 “손실은 자르고 이익은 달리게 놔둬라”라는 데이비드 리카도의 말처럼 오르는 자산에 더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물리학에서 모멘텀은 물체를 움직이는 힘을 뜻한다. 안토나치는 물리학의 법칙이 주식 시장에도 적용된다고 생각했다. 한번 움직이면 그 방향을 유지하려는 것처럼 주가가 상승 기운이 넘치는 주식이 비록 비싸보일 수 있지만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믿었다. 사람들은 오르는 주식을 보면 늘 몰려가는 군집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안토나치는 개인적으로 옵션 등에 투자해 큰 돈을 벌었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성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대신 그는 《듀얼모멘텀 투자전략》(사진)이란 책에서 과거 데이터를 이용한 듀얼모멘텀 전략의 테스트 결과를 제시했다.

이 책에 따르면 그가 듀얼모멘텀 전략을 바탕으로 만든 글로벌 주식 모멘텀(GEM) 투자법은 1974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에서 연간 17.43%의 수익을 낼 수 있었다. 이 기간 GEM은 S&P500지수를 22번 이겼다. S&P500지수에 미치지 못한 해도 있지만 평균적으론 오를 땐 더 오르고 내릴 땐 덜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S&P500지수가 상승한 해에는 시장 평균 수익률(18.5%)을 웃도는 21.9%의 수익률을 냈고, 하락한 해(시장 평균 수익률 15.2% 하락)에도 2.2%로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