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하얀 종이 위에 곱게 써내려간 관세 위협

2025.7.8 달러/원 환율 1,372~1,384원 전망
25.07.08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갭 상승 개장 이후 원화 약세 압력에 1,380원선 위협 예상
  • 글로벌 동향, 한국에 상호관세 25% 통보, 관세 유예 연장은 8월 1일까지
  • 마켓 이슈, 5개월 만에 달러 순유입 전환, 관세 협상·외인 국장 복귀에 주목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갭 상승 개장 이후 원화 약세 압력에 1,380원선 위협 예상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앞두고 위험회피심리에 장초반부터 상승세. 장중 달러화 강세에 연동하며 1,369원까지 상승한 뒤 고점 매도 물량 출회에 1,370원대 진입은 실패. 이후 역내외 양방향 수급이 대치하며 1,360원대 중후반에서 박스권 등락, 전일 종가 대비 5.5원 상승한 1,367.8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국 상호관세에 따른 위험회피에 상승하며 1,377.0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7.70원 상승한 1,373.0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강세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0원 가량 갭 상승 개장 예상. 미국은 한국에 대한 관세 유예 기한을 3주 간 연장, 하지만 상호관세율 25%는 그대로 유지

즉 지난 베트남의 사례와는 달리 관세 협상이 원활하지 못했다는 점이 원화에 약세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 금일 환율은 관세 협상 교착에 따른 위험회피에 상방. 외국인의 국내주식 순매도까지 겹칠 경우 1,380원 상회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한국에 상호관세 25% 통보, 관세 유예 연장은 8월 1일까지

전일 미 달러화는 미국 상호관세 이벤트를 소화하며 강세 전환.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58% 상승한 97.55pt 기록.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7개국에 상호관세 서한 게시

특히 한국에는 기존과 같은 25%의 상호관세 (기본관세 10%+국가별 차등관세 15%)를 통보, 유예 기한은 8월 1일로 3주 동안 연장. 서한에는 한국이 보복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에 추가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경고. 한국이 무역장벽을 없애는 등 시장을 더욱 개방하고자 한다면 관세 조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적시

한편 미국은 일본의 상호관세율을 기존 24%에서 25%로 1%p 상향 조정 (유예는 8월 1일로 연장).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곧 유예 연장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며, 한일 외 12개국에도 서한을 보낼 예정이라고 발표. 미 국채금리는 장기물 중심으로 상승,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모두 하락으로 마감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5개월 만에 달러 순유입 전환, 관세 협상·외인 국장 복귀에 주목

올해 5월, 우리나라의 외환 수급 여건은 5개월 만에 달러 공급이 수요를 상회하며 90억 달러 순유입 전환. 특히, 5월 경상수지가 101.4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달러 공급을 주도. 그동안 순유출이 이어졌던 내외국인 증권투자도 1년 만에 순유입 전환. 내국인 해외증권투자는 100.9억 달러, 외국인 국내증권투자는 127.7억 달러 기록

6월에도 대규모 무역흑자와 외국인의 국내주식투자 증가 등을 감안하면, 달러 순유입 기조가 이어졌을 것으로 예상. 외환 수급은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하반기에도 관련 수급 여건을 주시할 필요

하반기 수급 (특히, 달러 공급)의 핵심 변수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 외국인의 국내증시 복귀 여부.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연장이나 관세 인하 시 대미 수출 회복을 통해 달러 공급이 늘 수 있으며, 국내 상법 개정에 따른 외국인의 국내주식시장 진입 역시 달러 공급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국내 외환 수급, 5개월 만에 순유입 전환

25년 5월 부터 25년 5월 까지 '한국' '경상수지', '증권투자', 직접투자의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계산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