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펄펄 끓던 달러/원, 고용 쇼크에 급랭

2025.8.4 달러/원 환율 1,383~1,391원 전망
25.08.04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고용 쇼크에 하락 개장, 외국인 자금 흐름 주시하며 등락
  • [글로벌 동향] 미국 고용 쇼크에 달러 급락, 연준 9월 금리인하 기대 확산
  • [마켓 이슈] 관세 여진 한동안 지속, 수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우려 사항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고용 쇼크에 하락 개장, 외국인 자금 흐름 주시하며 등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한미 협상 타결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에도 불구하고, 미 달러화 강세에 연동하며 상방 흐름. 이후 국내 세법 개정안 공개로 인한 국내 주식시장 급락 및 외국인 주식 대량 매도에 환율 추가 상승. 5월 이후 처음으로 빅 피겨인 1,400원 상회, 전일 종가 대비 14.4원 상승한 1,401.4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국 7월 고용지표 예상 하회에 따른 달러 약세에 하락하며 1,386.5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12.70원 하락한 1,386.5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주말간 달러 약세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390원 부근에서 하락 개장 예상. 미국 고용 쇼크로 달러 가치가 급락하며 달러/원 하방에 기여

다만 관세로 인한 한국 수출 둔화 우려와 정부 세제 개편안 실망에 따른 국내증시 부진은 원화에 부정적. 금일 환율은 글로벌 약 달러 속 하락 개장한 뒤, 외국인의 국내주식 매매 동향 주시하며 등락. 환율 하단은 20일 이동평균선인 1,383원 부근에 형성될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미국 고용 쇼크에 달러 급락, 연준 9월 금리인하 기대 확산

전일 미 달러화는 미국 핵심 고용지표 둔화에 약세 전환.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1.35% 급락한 98.70pt 기록.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전월대비 7만 3천명 증가에 그치며 예상치 (+10.4만명)를 큰 폭으로 하회. 기존 5월 및 6월 고용 수치는 25만 8천명 하향 조정 (각각 12만 5천명, 13만 3천명)

7월 실업률은 4.2%로 전월치 대비 0.1%p 소폭 상승. 고용 외에도 제조업 업황 및 소비심리 약화도 확인. 공급관리협회 (ISM)의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PMI)는 48.0pt로 예상치 (49.5pt) 및 전월치 (49.0pt) 모두 하회

미시건대 조사에 따르면, 7월 소비자심리지수는 61.7pt로 전월대비 1.0pt 상승했지만 예상치 (62.0pt) 하회. 미국 고용, 제조업 및 소비 심리의 부진이 확인되자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기대 급부상. 선물시장에 반영된 9월 인하 확률은 기존 37.7%에서 89.8%로 급등 (FedWatch)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관세 여진 한동안 지속, 수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우려 사항

7월 31일 한미 무역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며 그간 시장을 지배했던 관세 불확실성은 상당 부분 해소. 협상으로 인해 관세율이 당초 우려했던 것보다 낮아진 점도 긍정적인 부분 (상호 관세율 25%→15%)

하지만 그동안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으로 제로 수준이었던 관세율이 올해부터 새로 생겨난 부분은 한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미국의 한국산 수입품에 대한 실효 관세율은 지난해 5월 0.2%에서 올해 5월 12.3%로 11.1%p나 급등

우리나라의 올해 7월 수출액이 608.2억 달러로 전년대비 5.9% 증가하며 역대 7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상호 관세가 본격적으로 발효되는 8월부터는 수출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 수출은 국내 경제성장 (펀더멘털) 및 달러 수급 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향후 수출 부진으로 인해 성장 여건이 약화하거나 달러 공급이 감소한다면 원화 약세가 자극될 가능성

미국의 주요 10개국에 대한 실효 관세율

24년 5월과 2025년 5월을 기준으로 '미국'의 주요 10개국에 대한 '실효 관세율'을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