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이번 금리인하 사이클은 케빈과 함께

2025.8.7 달러/원 환율 1,378~1,390원 전망
25.08.07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글로벌 약 달러 속, 반도체 관세 경계에 제한적 하락 예상
  • [글로벌 동향] 연준 인사들의 연이은 금리인하 시그널에 달러 약세 전환
  • [마켓 이슈] 차기 연준 의장 삼파전, 누가 되든 연준 금리인하 기대는 확산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글로벌 약 달러 속, 반도체 관세 경계에 제한적 하락 예상

전일 달러/원 환율은 소폭 하락 개장한 이후 상승세로 전환. 오전 장중 중국 인민은행 절하 고시에 따른 위안화 약세에 연동한 가운데, 결제수요 유입 및 외국인의 국내주식 순매도에 1,390원 상회. 오후장에서는 고점 매도에 무거운 흐름 이어지며 혼조, 전일 종가 대비 1.2원 상승한 1,389.5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연준 금리인하 기대에 따른 달러 약세에 하락하며 1,386.4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4.70원 하락한 1,382.5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약세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380원대 초중반에서 하락 개장 예상. 연준 인사들의 연이은 금리인하 시그널이 달러 약세 자극. 이에 따라 달러/원도 하방 우세, 달러 추가 약세 시 1,370원대 진입 시도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 100% 부과 발표가 원화 강세를 제약할 가능성. 금일 환율은 달러 약세 속, 반도체 관세 경계에 제한적 하락 예상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연준 인사들의 연이은 금리인하 시그널에 달러 약세 전환

전일 미 달러화는 연준 인사들의 완화적 발언 소화하며 약세 전환.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54% 하락한 98.23pt 기록.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한 반면, 경제는 둔화하고 있다고 진단. 그는 우선 금리를 인하하고 상황을 지켜보는 게 낫다고 언급

리사 쿡 연준 이사,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급격한 고용 둔화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고용 리스크로 인해 향후 몇 달 내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언급

이 같은 연준 인사들의 완화적 발언에 9월 인하 확률은 95.5%, 연내 인하 폭 기대치는 60bp로 확대 (선물시장). 미 국채금리의 경우 2년물은 연준 인하 기대에 하락했으나, 10년물은 국채 입찰 부진에 상승. 뉴욕증시는 연준 인하 기대 등 위험선호심리에 3대 지수 상승 마감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차기 연준 의장 삼파전, 누가 되든 연준 금리인하 기대는 확산

최근 미국 고용지표의 쇼크와 함께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의 사임까지 겹치며,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차기 연준 의장 지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 베팅 사이트가 예측하는 차기 연준 의장은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 (24.0%), 케빈 해싯 현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27.8%), 그리고 크리스토퍼 월러 현 연준 이사 (12.1%) 등

세 인사의 과거 발언을 미루어봤을 때, 금리인하에 가장 적극적인 인사는 케빈 해싯 위원장. 그는 연준 금리가 현재보다 3%p 더 낮아야 한다고 발언하는 등 인플레이션 억제보다는 성장 촉진에 집중하는 성향

케빈 워시 전 이사는 금리인하 주장과 동시에 연준의 양적완화 (QE)에 비판적 입장이며 연준 개혁을 주장.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고용 리스크를 경계하며 연준의 선제적 대응을 강조. 세 인사 모두 금리인하에 우호적 인사라는 점에서 누가 지명되든 연준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

차기 연준 의장 지명 확률 (Polymarket)

25년 4월 부터 25년 7월 까지 차기 '연준 의장' 지명 확률(케빈 워시, 케빈 해싯, 크리스토퍼 월러)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