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작년 9월이 생각나는 요즘 (feat. Big Cut)

2025.8.14 달러/원 환율 1,375~1,385원 전망
25.08.14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역외 플레이어 중심으로 달러 매도세, 1,370원대 안착
  • [글로벌 동향] 연준 9월 빅 컷 부상에 달러 약세, 유로/달러 1.17선 돌파
  • [마켓 이슈]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서... 환율은 결국 경제 펀더멘털의 차이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역외 플레이어 중심으로 달러 매도세, 1,370원대 안착

전일 달러/원 환율은 예상에 부합한 미국 7월 CPI와 이에 따른 연준 금리인하 기대에 달러가 약세를 보이며 하락 개장. 장중 저가 매수에 1,386원까지 반등하기도 했으나, 국내증시 호조와 외국인 자금 순유입 등 위험선호에 1,380원대 초반에서 등락. 전일 종가 대비 8.2원 하락한 1,381.7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연준 금리인하 기대 및 달러 약세 지속으로 인해 추가로 하락하며 1,379.4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1.85원 하락한 1,377.5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약세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380원 부근 하락 개장 예상. 미국 고용 부진과 물가 안정으로 연준의 9월 빅 컷 기대 부상. 이에 따른 달러 약세가 달러/원 하방에 기여, 장중 80원 하회 이후 70원대 안착 시도

연휴 앞두고 역내 거래는 한산한 가운데, 역외 플레이어 중심으로 달러 매도세가 출회하며 환율 하방 우세. 금일 환율은 약 달러 추종하며 50일 이동평균선 1,375원까지 하락 가능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연준 9월 빅 컷 부상에 달러 약세, 유로/달러 1.17선 돌파

전일 미 달러화는 연준 9월 빅 컷 기대 반영하며 약세 지속.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27% 하락한 97.79pt 기록. 금주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발표 이후 현재 FedWatch의 연준 9월 금리인하 확률은 100% (25bp 인하 95.8%, 50bp 인하 4.2%)

트럼프 행정부의 연이은 연준 인하 압박도 9월 빅 컷 기대 형성에 기여.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가 지금보다 3~4%p 낮아야 한다고 언급. 베센트 장관은 9월 50bp를 시작으로 앞으로 금리를 150~175bp 낮춰야 한다고 발언. 연준 인하 기대에 미 국채금리는 장단기물 모두 하락

벤치마크인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5.5bp 하락 (4.236%). 뉴욕증시 역시 연준 인하에 따른 부양 기대감에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 유로화는 15일 미러 정상회담에서 러우 휴전 논의 기대에 강세. 유로/달러는 7월 말 이후 처음으로 1.17달러선 상회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서... 환율은 결국 경제 펀더멘털의 차이

기본적으로 환율은 양국 경제의 펀더멘털 차이, 구체적으로는 양국의 실질 경제성장률 차이에 의해 결정. 또한 시장 가격 특성상, 환율은 미래의 경제성장률, 즉 양국 성장률 기대치 차이를 반영. 이를 달러/원 환율에 적용해 보면, 미국 성장 기대치가 한국 성장 기대치보다 높으면 환율 상승, 그 반대이면 환율 하락으로 이해

올해 달러/원과 양국 성장 기대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2분기 무렵 미국 2026년 성장 기대치가 상호관세 우려로 큰 폭 하락하면서 환율도 동반 하락. 하지만 6월부터 미국 성장 기대치는 상승 전환한 반면, 한국 성장 기대치는 관세 영향 및 건설경기 부진 우려에 하락하며 환율도 상승 전환

즉 향후 달러/원 방향을 결정할 핵심 변수로, 미국 고용 부진 여파에 따른 성장 기대치 하락, 그리고 한국 반도체 수출 호조 지속 및 건설경기 회복 여부에 주목. 양국 성장 기대차 축소 시 (KR > US), 달러/원 환율 레벨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전망

달러/원 환율과 미국-한국 경제성장률 기대 차이

24년 7월 부터 25년 7월 까지 25년 US-KR 성장 기대차, 26년 US-KR 성장 기대차, 달러/원 환율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Consensus,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