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벗어나기 힘든 악순환의 고리

2025.11.10 달러/원 환율 1,453~1,462원 전망
25.11.10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여전한 위험회피, '외인 주식 매도↔원화 약세' 순환 주의
  • [글로벌 동향] 미국 소비심리 약화, 셧다운 역대 최장 기간에 달러 약세
  • [마켓 이슈] 달러/원 환율 1,460원대 진입, 현재 원화는 과도한 약세 국면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여전한 위험회피, '외인 주식 매도↔원화 약세' 순환 주의

전일 달러/원 환율은 글로벌 증시 조정 등 위험회피심리에 상승 개장한 뒤 꾸준하게 상승 폭 확대. 국내증시 밸류에이션 부담에 외국인의 주식 순매도세가 지속되며 환율 상승 자극, 더불어 미 달러화 지수도 반등하며 장중 1,450원 상회. 이후에도 상승세 이어지며 전일 종가 대비 9.2원 상승한 1,456.9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 달러화 약세에도 뉴욕증시 혼조 등 위험회피심리에 상승하며 1,461.5원으로 마감. 역외 NDF 환율은 0.70원 하락한 1,454.3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주말간 달러 약세와 역외 거래 감안해 1,450원대 중반 보합권 개장 예상. 미국 소비심리 약화 및 셧다운 장기화 부담에 달러는 약세. 하지만 오히려 위험회피심리가 이어지며 국내증시에 부정적 영향 미칠 가능성

이 경우 외국인 주식 매도↔원화 약세의 순환이 반복되며 환율 상방 자극. 다만 단기 급등한 레벨에 대한 차익실현 매도, 당국 개입 단행 시 하향 조정 예상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미국 소비심리 약화, 셧다운 역대 최장 기간에 달러 약세

전일 미 달러화는 미국 소비심리 약화를 확인하며 약세.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15% 하락한 99.55pt 기록. 금요일 미시건대에 따르면 미국의 11월 소비심리가 크게 약화한 것으로 확인. 11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50.3pt로, 지난 10월보다 3.3pt 하락

이는 2022년 6월 이후 약 3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 미시건대 관계자는 장기화하고 있는 연방정부 셧다운이 소비심리를 끌어내렸다고 평가. 세부적으로는 현재 경제여건 지수가 52.3pt로 전월대비 6.3pt 급락. 소비자 기대지수는 49.0pt로 전월대비 1.3pt 하락

한편 셧다운이 역대 최장 기간을 지속 중인 가운데, 미국 경기 하방 리스크도 점증. 의회예산국 (CBO)은 셧다운 4~8주 지속 시, 4분기 성장률은 -2.0~-1.0%p 하락할 것으로 추정. 셧다운 장기화에 민주당은 공화당에 타협 안 제시했으나, 공화당이 이를 거부하며 여전히 교착 상태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달러/원 환율 1,460원대 진입, 현재 원화는 과도한 약세 국면

지난주 금요일 달러/원 환율이 1,460원을 상회하며 2025년 1분기 국내 정국 불안 시기 레벨 근접. 한미 관세 협상 타결 발표에도 불구, AI 버블 경계 등으로 인한 글로벌 위험회피심리와 증시 밸류에이션 부담이 원화 약세 자극. 특히 지난주 국내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이 일주일 새 7조원 이상 이탈하며 환율 상승에 일조

글로벌 외환시장의 벤치마크인 미 달러화 지수 (DXY)와 환율을 비교해보면, 최근 원화 약세는 더욱 뚜렷. 지난 5년 간 DXY가 6.9% 상승에 그친 반면, 달러당 원화 환율은 26.0% 급등. 이를 단순 비교 시, 원화는 미 달러화 대비 약 19% 저평가 (5년래 최고치). 즉 현재 원화는 과도한 약세 국면에 진입했다는 판단

대내외 불안 심리가 진정되지 않는다면 환율의 추가 상승 리스크도 배제할 수 없음. 하지만 글로벌 증시 조정 국면이 진정되거나 달러가 추가로 약세를 보일 경우 하향 조정될 가능성도 상존

지난 5년 간 달러/원 환율 및 미 달러화 지수 추이

2020년 부터 2025년 까지 '달러/원 환율' 및 '미 달러화 지수'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