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진정되지 못하는 환시, 떠나가지 못하는 당국

2025.11.19 달러/원 환율 1,455~1,467원 전망
25.11.19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엔저 및 위험회피 vs. 당국 경계에 1,460원 부근 혼조세
  • [글로벌 동향] 미 민간고용 부진, AI 경계 및 러우 갈등이 위험회피 자극
  • [마켓 이슈] 극단치에 머물고 있는 달러/원 환율, '새로운 균형' 모색 과정?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엔저 및 위험회피 vs. 당국 경계에 1,460원 부근 혼조세

전일 달러/원 환율은 연준 금리인하 기대 약화에 따른 달러 강세에 상승 개장한 이후 위험회피심리에 1,460원대 중반으로 상승 폭 확대. 장중 달러 강세 및 엔화 약세에 동조해 1,467원까지 상승. 이후 외환당국 개입 경계에 상승 폭 축소했으나, 국내증시 급락에 재차 상승 전환하며, 전일 종가 대비 7.3원 상승한 1,465.3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국의 부진한 민간고용과 연준 인하 기대에 하락하며 1,461.9원으로 마감. 역외 NDF 환율은 5.80원 하락한 1,457.1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강세에도 역외 거래 감안해 1,460원 부근 개장 예상. 미국 민간고용 부진에도 위험회피심리 부각되며 달러는 강보합. 이에 더해 지속적인 일본 엔저 흐름도 원화의 동반 약세 유발할 소지

또한 AI 고평가 논란 속, 글로벌 증시 조정 국면도 지속 중. 이에 따른 외인 자금 이탈은 원화에 수급적인 부담 요인. 다만 외환당국의 강한 시장안정의지가 달러 롱 심리를 다소 완화시킬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미 민간고용 부진, AI 경계 및 러우 갈등이 위험회피 자극

전일 미 달러화는 미국 민간고용 부진에도 위험회피심리에 강보합.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04% 상승한 99.59pt 기록. ADP의 지난 4주 동안 주간 평균 민간고용은 2,500명 감소. 이에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커지며 미 국채금리는 장단기물 모두 하락. FedWatch의 12월 금리인하 확률은 하루전 42%에서 48%로 상승

일본 엔화 환율은 달러당 155엔을 상회하며 여전히 약세 국면. 전일 다카이치 총리와 BOJ 우에다 총재는 금융정책에 대한 회담 진행. 우에다 총재는 안정적인 2% 물가 달성을 위해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 중이라고 설명

뉴욕증시는 AI 고평가 논란과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3대 지수 모두 하락. 국제유가 (WTI)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고조에 배럴당 60달러대로 반등. 전일 우크라이나는 전술 탄도미사일로 러시아 내 군사 목표물을 타격했다는 소식 발표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극단치에 머물고 있는 달러/원 환율, '새로운 균형' 모색 과정?

최근 달러/원을 보면, 환율이 갖는 전형적인 특성인 '평균으로의 회귀'가 과거에 비해 뚜렷하게 약화. 통상 환율은 일시적으로 극단 구간을 벗어나더라도 결국은 평균으로 돌아오는 경향. 하지만 2020년대는 평균선 자체가 지속 상향 이동하며 환율도 극단 구간에 계속 머무는 모습

이 같은 흐름은 팬데믹 이후 현재까지도 진행 중인 구조적 변화에 기인한다는 판단. 첫째는 한미 성장률 및 금리 격차의 역전이 상시화되며 원화 대비 달러의 상대 매력도가 높아진 점. 둘째는 거주자의 해외투자로 인해 달러 수요가 구조적으로 증가한 점

마지막 셋째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정학적·정책적 이벤트가 원화에 지속적인 충격을 가하는 점. 즉, 최근의 환율 흐름은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를 반영해 새로운 균형을 찾아 나가는 과정. 구조 변화가 마무리되면 평균으로의 회귀도 다시 나타날 전망. 하지만 문제는 구조 변화의 '완료 시점'을 예단하기가 어렵다는 점

달러/원 환율은 장기 평균의 극단치에 위치

1990년 부터 2020년 까지 '달러/원 환율' 및 5년 이동평균치, 95% 신뢰구간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추정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