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카드 결제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민간업체가 협력하여 만든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입니다.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금액이 바로 이체되는 직거래 방식이에요.
작게
보통
크게
목차
AI가 만든 3줄 요약
제로페이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카드 결제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민간업체가 협력하여 만든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입니다.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금액이 바로 이체되는 직거래 방식이에요.
제로페이와 카드결제의 차이는?
카드 결제도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데, 제로페이는 어떤 점이 다를까요? 제로페이와 카드결제 차이는 돈이 오가는 방식과 판매자가 부담하는 수수료 구조가 다르다는 거예요.
일반적인 카드 결제는 이렇게 진행돼요. 소비자가 카드로 결제하면, 결제 정보가 결제중계업체(이하 VAN사)를 거쳐 카드사로 전달됩니다. 그 다음, 카드사가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소비자가 결제한 금액을 판매자에게 입금해주는데요. 이 과정에서 카드 수수료와 VAN사 수수료가 빠집니다. 결국 판매자 입장에서는 판매 금액의 일부를 수수료로 부담해야 해요.
제로페이 결제 과정을 살펴보면,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소비자가 QR코드를 스캔하면, 소비자 은행 계좌에서 판매자 은행 계좌로 바로 이체가 이뤄집니다. 일반 카드 결제와 달리, 중간에 VAN사나 카드사가 개입하지 않아 결제 수수료가 없거나 일반 카드 결제를 할 때보다 낮은 수수료율이 적용돼요.
제로페이 혜택
제로페이를 이용하면 소비자와 판매자, 양쪽 모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로페이를 이용하면 어떤 혜택이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소비자는 제로페이를 통해 간편한 결제, 소득공제 30% 적용, 제로페이 모바일상품권 이용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제로페이는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결제가 완료되는 방식으로, 스마트폰만 있으면 간단히 결제할 수 있어요. ‘KB스타뱅킹’처럼 이미 스마트폰에 설치된 은행 앱이나 ‘비플페이’ 같은 간편결제 앱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해요.
제로페이로 결제하면 사용금액의 30%가 소득공제로 인정됩니다.(전통시장 사용분은 40%) 제로페이 결제 내역은 별도로 현금영수증을 요청하지 않아도, 소득공제 항목에 자동으로 반영돼요.
제로페이는 지역사랑상품권 및 공공상품권과 연동되어 있어요. 제로페이와 연결된 일부 앱(예. 비플페이 등)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한 다음 제로페이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비플페이 앱 기준, 지역사랑상품권은 상품권 종류에 따라 5~15% 할인된 가격에 구매 가능해요.(2025.9.30 비플페이 앱 내 공지 기준)
어르신의 스포츠시설 이용료를 지원하는 ‘어르신 스포츠 상품권’은 비플페이 앱에 상품권을 등록한 다음, ‘제로페이 가맹 스포츠 시설’에서 제로페이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
판매자가 얻는 제로페이 혜택은 카드 결제 수수료 절감, 모바일상품권 가맹점 자동 등록이 된다는 거예요.
연매출 8억원 이하 소상공인 가맹점이라면 제로페이 결제 수수료가 0%입니다. 8억원 초과 12억원 이하 가맹점은 0.3%, 12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가맹점은 0.5% 수수료율이 적용돼요. 일반적인 카드 결제보다 수수료율이 낮아* 소상공인의 부담을 덜어주죠.
구분 | 매출액 구간 | 수수료율 |
소상공인 가맹점 | 8억원 이하 | 0% |
8억원 초과 12억원 이하 | 0.3% | |
12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 0.5% | |
일반 가맹점 | 30억원 초과 | 1.2% |
제로페이 가맹점은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도 자동으로 가입됩니다. 전통시장/상점가에 있는 매장이라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도 함께 등록됩니다. 따로 신청하지 않아도 상품권으로 결제하는 고객을 자연스럽게 받을 수 있어요.
✅ 제로페이 가맹점 신청하려면?
제로페이 가맹점 신청은 제로페이 가맹점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우선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해 가맹점 가입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가입되지 않은 상태라면, 사업자 및 가맹점 정보를 입력합니다. 이후 제로페이 가맹점 심사가 진행되고, 심사가 승인되면 가입이 완료됩니다.
✔ 참고하세요!
개인사업자 가맹점 신청 시 대표자 본인 명의 휴대폰 본인인증이 필수입니다. 본인 명의 휴대폰이 없다면, 카드 단말기를 설치한 대리점을 통해 제로페이 가맹점 신청을 진행해주세요.
제로페이 사용법
제로페이 사용법은 제로페이와 연동된 앱에 내 명의의 은행 계좌를 등록한 다음,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QR코드를 스캔해 결제하면 됩니다. 현재 21개 은행, 39개 간편결제 앱에서 바로 제로페이를 이용할 수 있어요.(2025.10.14. 기준)*
KB스타뱅킹 앱 ‘스타뱅킹 결제 서비스’에서도 제로페이 결제가 가능합니다. KB국민은행 계좌가 있는 만 19세 이상 고객이라면, KB스타뱅킹 앱에서 제로페이를 이용해보세요.
① 가입 한 번으로 제로페이 결제뿐 아니라, 스타뱅킹 결제와 뱅크페이까지 이용할 수 있어요.
② 모아놓은 스타포인트로 복합결제가 가능해요.
③ 녹색생활 실천활동으로 결제 건마다 탄소중립포인트 100P를 받아요.
④ 결제 즉시 판매자 계좌에 입금되니 소상공인에게 힘이 되는 사회적 가치소비를 실천할 수 있어요.
제로페이 결제 방법
① 제로페이와 연동된 앱(예. KB스타뱅킹)을 실행해주세요.
② 직불/상품권 중 결제방식을 선택하고, 제로페이 가맹점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합니다.
③ 결제금액 입력 후, [결제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④ 결제가 완료되면, 판매자의 가맹점 앱으로 결제내역 실시간 알림이 도착합니다.
제로페이는 전국 곳곳의 전통시장, 음식점, 카페, 미용실, 약국 등 생활 밀착 업종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역사랑상품권이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도 결제가 가능해 지역 상권을 살리는 데 도움이 돼요.
일부 편의점이나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도 제로페이를 지원합니다. 제로페이 로고가 붙은 제로페이 가맹점이라면 간편하게 QR로 결제해보세요.
제로페이
자주 묻는 질문
A. 제로페이는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해 결제하는 방식으로, 전국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입니다. 반면 서울페이는 서울시가 제로페이를 기반으로 만든 서울 전용 간편결제 서비스입니다.
제로페이와 서울페이의 공통점은 QR코드를 스캔해서 결제하는 ‘간편결제 방식’이라는 거예요.
제로페이와 서울페이의 차이점은 ▲제로페이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고, 사용 가능한 결제 앱이 다양한 반면 ▲서울페이는 서울에서만 이용 가능하고, 서울페이플러스 앱에서만 결제돼요.
A. 네, 제로페이 이용 시 결제 금액의 3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요. 본인 명의 계좌를 제로페이 가맹 은행 앱(예. KB스타뱅킹) 또는 간편결제 앱에 등록한 뒤,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자동으로 소득공제가 적용됩니다.
A. 네, 제로페이도 연말정산이 가능합니다. 제로페이 결제 내역은 따로 현금영수증을 요청하지 않아도 소득공제 항목에 자동 반영돼요. 연말정산 시, ‘직불카드 등‘ 항목에서 해당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