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시스템 불안이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2023.03.30

읽는시간 4

0

미국 실리콘 뱅크의 건물을 촬영한 사진. 건물 양 옆으로 나무가 심어져 있고, 입구를 향해 가로수가 일렬로 나란히 서있다.

강력한 불안 요인으로 떠오른 은행시스템 위험

은행시스템 불안이 새롭고 강력한 위험으로 떠오르며 전 세계 자산시장을 흔들고 있다. 3월 BofA-메릴린치가 조사한 글로벌 펀드매니저 서베이를 따르면, 응답자들은 가장 큰 위험으로 시스템적 크레딧 이벤트(Systemic Credit Event)를 꼽았다.

 

인플레이션이 높게 유지될 위험을 꼽은 사람도 여전히 많았지만, 응답률이 압도적으로 많았던 2월과는 달리 응답률이 낮아졌다. 시스템적 크레딧 이벤트의 근원지로는 미국 그림자금융(응답률 34%)과 회사채(17%), 선진국 부동산(10%)이 꼽혔다.

 

지난 3월 10일, 미국 내 자산규모 16위 은행인 실리콘밸리은행(SVB: Silicon Valley Bank)이 파산했다(2022년 말 자산규모 2,118억 달러). 3월 20일에는 스위스 2위 은행인 크레딧스위스(CS: Credit Suisse)가 경쟁자였던 UBS에 30억 스위스프랑(32.5억 달러)에 인수되면서 투자자들에게 충격을 주었다(2022년 말 자산규모 5,764억 달러).

 

두 은행 모두 공통적으로 고객의 대규모 예금인출이 나타났다. SVB에서는 3월 9일 하루 만에 전체 예금의 25%인 420억 달러가 빠져나갔고, CS에서는 2022년 4분기에만 1,110억 스위스프랑(1,200억 달러)의 예금이 이탈했다.

 

SVB는 벤처캐피탈과 기술스타트업 전문은행으로서 고금리 충격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가 원인이 되었고, CS는 자본 건전성과 유동성 모두 큰 문제가 없었지만 2021년 아르케고스 사태 이후 자산관리와 투자은행 부문의 수익기반 약화로 대규모 순손실이 발생하며 운영위험관리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린 것이 예금 이탈의 원인이 되었다.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초고도 통화완화 정책으로 예금이 급격히 불어났고, 이 예금을 굴리기 위해 은행들은 채권에 투자했다. 그러나 물가를 잡기 위해 중앙은행이 급격하게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이 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가치가 하락했다.

 

수익성과 자본건전성이 낮아서 위험하다고 인식되는 은행에서 예금이 이탈하면, 예금 감소(은행의 부채)에 대응하기 위해 보유 채권(은행의 자산)의 손실을 실현하면서까지 매각해야 한다. 이런 현상이 드러나면,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은행에서 안전하다고 인식되는 은행으로 자금이 빠르게 이동한다.

 

금융당국이 예금보험을 보장한다고 약속해도 불안한 투자자들이 예금을 옮기기 시작하면, 내가 먼저 자금을 인출해야 한다는 집단 불안심리가 형성되고 이러한 대규모 예금 이탈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문제가 없는 은행까지 흔들 위험이 있다.

금융당국의 조치를 둘러싼 불안, 성장주 매수는 2분기내 분산할 것

지역은행에서 대형은행으로 예금이 이동하는 현상을 막기 위한 조치는 미국 금융당국이 강구 중이다. 25만 달러 한도로 제공하는 예금보험을 그 이상의 예금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방안을 금융당국이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고, SVB와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금융규제를 강화할 것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예금보험 한도를 일시적으로 높이는 조치는 2008년과 2020년에 단행된 적이 있는데, 2008년 이후 전면적인 예금보험 한도 상향은 의회의 승인이 필요해졌다. FOMC가 열린 3월 21일,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의회에서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모든 예금을 보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발언하며 충격을 줬다. 그것은 ‘의회의 권한’이라는 뜻이다.

 

의회가 이 권한을 가지고 있는데, 만약 문제가 심화됐을 때 금융 감독과 규제의 책임 소재를 놓고 정치권의 갈등으로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신용이 경색될 위험이 있다.

 

은행시스템 불안을 차단하기 위한 예금보험 한도 상향 등 당국의 조치는 결국 단행되겠지만, 의회 승인 과정에서 주식시장의 변동성은 당분간 확대될 것이다. 2분기가 나스닥100 등 성장주를 저가 매수할 기회라는 판단은 유효하지만 의회 승인 과정에서 나타날 진통을 감안한다면 성장주 매수는 2분기 내에서 분산해서 가져갈 필요가 있다.

3월 FOMC를 정점으로 기준금리 인하 전망 강해질 것, 장단기 금리 하락 요인

반면, 금리수준이 많이 낮아졌지만 한국과 미국의 장기채 금리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3월 FOMC에서 연준(Fed)과 파월 연준의장은 기준금리를 4.75~5.00%로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점도표 상 2023년 말 기준금리 전망치의 중간값은 5.125%로 유지했다.

 

은행 불안이 더 확대되지만 않는다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것이라는 뜻이다. 파월 연준의장은 여전히 올해 기준금리 인하를 기본 시나리오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그러나 금리파생상품시장은 여전히 연내 기준금리 인하 반영폭을 넓히며 약 0.75%포인트의 인하를 반영하고 있다. 은행 시스템에 더 문제가 생기면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강력한 디플레이션 압력이 생길 수 있는데, 그때는 매우 급진적인 통화완화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은행 불안을 가라앉힐 다양한 정책 도구들이 있지만, 문제가 불거지기 전에 의회가 나서서 해결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더구나 연준이 추가 기준금리 인상 의지를 계속 가지고 있다면 경기에 대한 우려는 더 커진다.

 

결국 누적된 통화긴축의 부정적 효과가 금융불안정을 통해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연준은 금융안정을 추구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올해뿐 아니라 내년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높이는 요인이다. 주요 인플레이션 지수의 전년대비 변화율이 기준금리를 하회하기 시작하는 2분기에는 추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질 것이다.

 

3월 FOMC에서 공개된 점도표에는 내년 4.25%, 내후년 3.125%의 기준금리 전망치가 제시되어 있다. 즉, 연내 추가 1회 인상 이후 내년부터는 연간 1.00%포인트씩 인하로 돌아선다는 의미다.  추가 인상을 몇 차례, 얼마나 더 하든지 이제는 최종 목표에 거의 도달했다는 인식이 은행시스템 불안과 맞물리면서 장기금리의 하락 압력이 쌓여가고 있다.

 

일손 부족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저임금, 저숙련 일자리를 중심으로 고용시장 확장세가 이어지면서도 임금 상승률은 안정되는 중이다. 은행시스템이 흔들리는 등 통화긴축의 누적 효과가 관찰되기 시작하면서 ‘통화긴축지속’의 이유였던 강한 고용시장은 오히려 ‘급격한 경기위축을 막아주는 보루’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기업이익 추정치도 2분기 중 저점을 확인할 전망이다.

 

물론 리스크 요인은 지속적으로 점검이 필요하다. 은행 시스템 불안에서 드러났듯,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급격하게 시행되는 통화긴축은 이자 부담을 높이고 수요를 위축시켜 경제주체들의 부채 상환 능력을 떨어뜨린다.

 

특히 금융위기 이후 대형은행의 각종 규제로 인해 중소형은행의 그림자금융 규모가 급증했다. 특히 공실 및 이자부담이 높아지고 있는 미국 상업용 부동산은 대형은행들(대출비중 6.6%)보다 상대적으로 중소형은행들의 대출비중(28.9%)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3명의 사람이 테이블을 둘러싸고 서있는 사진. 테이블에는 노트북과 종이들이 놓여져 있으며, 그 위로 공중에 세계지도 및 각종 그래프가 떠있다.

※ 위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소속 회사(KB증권)의 공식적인 의견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신동준

KB증권 WM투자전략본부장

WM 투자전략본부장(CIO)로서 고객들의 자산관리와 투자전략에 대해 작성합니다.

신동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