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베트남, 탈중국 생산거점의 대표 수혜국

2023.10.04

읽는시간 4

0

중국 국기가 그려진 칩이 핀셋에 들린 채 반도체 위에 놓여있다.

중국을 대체할 아시아 공급망, ‘알타시아(Altasia)’

1987년, 당시 세계 최대 가전업체 중 하나였던 파나소닉(Panasonic)이 중국에 첫 합작 TV 브라운관 공장을 설립하며 세계를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후 일본을 비롯한 대형 가전업체들이 앞다퉈 중국의 풍부하고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해 중국에 진출했고, 36년이 지난 지금 중국은 세계 가전산업의 핵심 국가로 성장했다. 2021년 중국의 전자제품 및 부품 수출은 1조 달러로 전세계 수출액의 약 1/3에 달한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제조업체들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추세다. 중국의 노동력이 더 이상 저렴하지 않은데다, 미·중 갈등으로 촉발된 미국 주도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속도를 내고 있는 영향이다. 2020~2022년 사이 중국에서 운영되는 일본기업의 숫자는 약 1만3,600개에서 1만2,700개로 감소했다. 삼성도 2013년을 정점으로 중국인력을 2/3 이상 줄였다.


기업들은 중국의 제조업 공급망을 대체할 기회를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찾는 중이다. 올해 초 영국의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대체 아시아 공급망(Alternative Asian supply chain)’을 의미하는 ‘알타시아(Altasia)’라는 신조어를 선보였다. 당장 어떤 국가도 중국을 대체하기는 어렵지만, 기술력과 자금력을 보유한 한국, 일본, 대만에서부터 낮은 임금이 강점인 인도에 이르기까지 범아시아 경제 전체를 묶어서 보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2022년 9월까지 1년 동안 한국, 일본,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14개국을 합친 Altasia의 대미 상품수출 금액은 6,340억달러로 중국의 6,140억달러보다 조금 더 많다. 고등교육을 받은 숙련된 노동인력도 1억5,500만명으로 중국의 1억4,500만명과 비슷하다. 반면 중국의 인건비는 이미 동남아 국가들보다 훨씬 비싸졌다.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의 시간당 제조업 임금은 3달러 미만으로 중국 노동자들이 요구하는 임금의 약 1/3 수준에 불과하다.

인도와 베트남, 탈중국 생산거점의 대표 수혜국

지난 9월 10일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G20 정상회담이 열리는 인도를 거쳐 베트남을 방문했다. 인도와 베트남은 미국 등 서구권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서 중국을 대신할 탈중국 생산거점으로 거론되는 대표 수혜국들이다. 이번 방문에서 베트남은 양국 외교 관계를 최고 수준인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CSP,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한국/중국/러시아/인도/미국의 5개국)로 두 단계 격상시켰다. 중국을 견제해 우방국 중심의 프렌드쇼어링으로 공급망을 재구축하려는 미국과, 미·중 사이에서 실용주의 외교를 펼치며 고부가가치 첨단기술 기업을 유치하고 경제발전에 집중하려는 베트남 양국의 이해관계가 맞닿은 상징적 결과물이다. 서방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인도,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들이 중국에 대한 불안을 지워나갈 대체 카드로 부상하고 있다.


베트남은 적극적인 시장개방 정책으로 전 세계 50개 이상의 국가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며 아세안 지역의 FTA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국가다. 지난해 베트남 경제는 수출 증가,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 내수시장 반등으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빠르게 회복했다. 삼성전자, 인텔, LG전자, 보쉬, 샤프, 파나소닉, 폭스콘 등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도 늘어났다. 구글이 최신 스마트폰의 아웃소싱 생산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기고 있고, 미국의 팹리스 반도체 제조업체인 퀄컴(Qualcomm)도 2020년 베트남에 첫 연구개발센터를 열었다. 집단지도 체제의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중심 공원에 위치한 레닌 동상이 어색하지 않은 곳이기도 하지만 세계정세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진영에 휩쓸리지 않는 유연한 외교로 실리를 취하고 있다는 평가다.


올해 상반기 베트남의 경제 성적표는 만족스러운 모습이 아니었다. 글로벌 수요둔화로 수출이 감소하고 있고 노동허가, 소방시설 승인 등 오히려 강화된 규제와 내년 초 글로벌 최저한세(다국적 기업이 어느 나라에서 사업을 하든 최소 15% 실효 법인세율 부담) 시행으로 외국인 직접투자(FDI) 자금유입이 주춤하는 등 도전의 행로가 순탄하지만은 않다. 비교적 안정적인 정치환경, 젊고 풍부한 노동력,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 세금 인센티브, 해상 교통의 요충지로서 무역에 유리한 지리적 환경, 정부의 적극적인 인프라 개발, 높은 교육열 등으로 상대적인 강점이 분명했던 베트남이 제도의 질, 인프라와 숙련 노동력 부족, 국가경쟁력을 저해하는 부정부패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탈중국 대안의 주요 제조기지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그 가능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인도는 전 세계 최대 인구대국으로 노동력과 내수시장의 잠재력에서 중국을 대신할 생산기지로써 비교불가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현재 세계 5위 경제규모의 인도는 수년 이내에 독일과 일본을 넘어 2030년 이전에 제3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올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의 다국적 기업들이 탈중국 공급망 재편의 선택지로 인도에 주목하는 배경이다. 올해 인도의 GDP 성장률 전망치는 6%대로 전 세계 주요국 가운데 최상위권 고성장 국가이기도 하다.


모디가 이끄는 인도 정부는 일찌감치 Make in India(제조업 육성 정책), Gati Shakti(인프라 개발 정책) 등의 강력한 장기 경제개혁 추진으로 서비스업 대비 낙후되었던 제조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젊은 인구와 풍부한 노동력을 배경으로 내수 소비도 덩달아 활성화되면서 기업들의 이익성장으로 연결되는 선순환도 진행되고 있다.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위해 프렌드쇼어링을 강화해 가고 있는 미국의 애플, 테슬라, 아마존, AMD와 같은 대표 기업들이 앞다투어 인도에 진출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애플의 위탁생산업체인 폭스콘(Foxconn)은 2년 내에 인도 iPhone 공장 인력을 4배인 7만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적 관점에서도 미국 외교안보 전략의 핵심국인 인도가 앞으로 가져갈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미·중간 무역분쟁은 코로나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위기를 거치며 탈세계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교역환경의 패러다임 대전환을 불러왔다. 혼란의 시대에 영웅이 출현하듯 넥스트 차이나를 꿈꾸는 인도와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 주요국들이 저렴한 인건비와 지리적 강점, 친기업 정부지원 등을 내세워 저마다 중국의 대안으로써 자국의 경쟁력을 어필하는 중이다.


현실적인 한계로 이들이 단시일 내에 중국이 지난 십수년간 세계의 공장으로 보여줬던 절대적 지위를 온전히 대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다자간 무역협정을 통해 규제 장벽이 완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낙후된 인프라와 물류시스템은 넘어야 할 큰 걸림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것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격랑 속에 중국이 내어준 기회를 차지하는 주인공이 탄생할 것이라는 점이다. 유력한 잠재 후보국들에게 글로벌 투자자들의 시선이 쏠리는 건 자연스럽다. Altasia국가들의 야심찬 행보와 경쟁 속에서 글로벌 무역질서의 재편 과정에서 추세적으로 성장하는 새로운 국가들이 등장할 것이다. 변동성이 큰 만큼, 연금자산 등 중장기 투자의 좋은 투자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중국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Altasia

아시아의 지도가 나와있다. 중국을 빨간색으로 칠해두었고, 알타시아에 해당하는 국가들을 파란색 계통으로 칠해두었다.

자료: The economist, KB증권

※ 위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소속 회사(KB증권)의 공식적인 의견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신동준

KB증권 WM투자전략본부장

WM 투자전략본부장(CIO)로서 고객들의 자산관리와 투자전략에 대해 작성합니다.

신동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